메릴랜드

메릴랜드

다른 표기 언어 Maryland
요약 테이블
위치 미국 동부
인구 6,000,000명 (2022년 추계)
면적 32,133 ㎢
언어 영어
대륙 북아메리카
국가 미국

요약 미국의 행정구역. 대서양으로 물이 흘러나가는 체서피크 만의 북부 지역에 있으며, 체서피크 만 동쪽의 델마바 반도는 델라웨어·메릴랜드·버지니아 주에 걸쳐 있다. 서쪽의 포토맥 강은 버지니아 주, 웨스트버지니아 주와 남쪽 경계를 이루며, 북쪽은 펜실베이니아 주와 접한다. 주도는 아나폴리스이고 최대 도시는 볼티모어이다.

아나폴리스(Annapolis)
아나폴리스(Annapolis)

메릴랜드 주는 대서양으로 물이 흘러나가는 하구인 체서피크 만의 북부에서 만의 양편에 걸쳐 있는 지역이다.

체서피크 만의 동쪽 해안선에 있는 델마바 반도는 델라웨어·메릴랜드·버지니아 주에 걸쳐 있다. 이들 3주를 합치면 델마바 반도가 된다. 서쪽 해안에서는 포토맥 강이 버지니아 주, 웨스트버지니아 주와 남쪽 경계를 이룬다. 메이슨과 딕슨 선이 펜실베이니아 주와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컬럼비아 특별구는 포토맥 강의 왼쪽(북쪽)에 있는 소(小)고립지대이다. 주도는 아나폴리스이다.

최초로 메릴랜드 주에 살던 주민은 BC 10,000년경에 이 지역에서 유랑생활을 하던 후기 빙하시대의 수렵민이었다.

유럽인들이 이 지역에 처음 도착할 당시의 주요 인디언 종족은 알공킨족의 일파인 난티코크 부족과 피스카타웨이 부족이었다. 좀더 북쪽에 있던 이로쿼이족의 서스쿼해나 부족은 몹시 호전적이어서 식민지 개척자들을 몹시 괴롭혔다. 1652년 협정이 체결되고나서 비로소 평화를 찾았다. 버지니아 출신의 존 스미스 선장이 1608년 체서피크 만 지역의 해도(海圖)를 작성했다. 영국 왕 찰스 1세가 볼티모어의 2번째 총독인 세실 캘버트에게 준 해도에도 메릴랜드 주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동생 레너드 캘버트가 나중에 첫 주도가 된 세인트메리스 시에 1634년 최초로 정착했다. 로마 가톨릭교도인 캘버트 가문은 비록 삼위일체설을 신봉하는 그리스도교의 범위 안에서이지만 이 식민지에서 종교의 자유를 완전히 보장하는 정책을 폈다. 이 지역은 곧 박해받는 영국 가톨릭교도들, 다른 식민지에서 엄격한 종파성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피신처가 되었다.

초기 이주민들이 최대관심을 기울였던 경제활동은 담배경작으로, 이 일은 연간계약의 노동자들과 아프리카 노예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더 많은 농장들이 개척됨에 따라 인구가 급속히 북쪽과 서쪽으로 집중되었다. 식민지의 주도는 1694년에 아나폴리스로 옮겨졌고, 1729년 볼티모어 시가 세워졌다.

독립전쟁을 종결짓고 식민지들의 독립을 승인한 파리 조약(1783)이 아나폴리스에서 개최된 대륙회의에서 인준되었다(파리 평화조약). 1788년 메릴랜드는 미국 헌법을 승인하고 7번째 주가 되었다.

주는 1791년 새 연방수도 소재지로서 컬럼비아 특별구를 할애했다. 워싱턴 D. C.에 있는 정부청사를 방화했던 영국인들이 볼티모어에서 비슷한 피해를 입히려 한 사건이 1814년에 있었다. 이 사건은 매켄리 요새에 설치된 대포의 힘으로 해결되었다. 평화가 다시 회복되면서 메릴랜드는 개발에 눈을 돌렸다.

애팔래치아 산맥을 지나는 국립유료도로, 체서피크-오하이오와 체서피크-델라웨어 운하, 볼티모어에서 워싱턴 D. C.에 이르는 최초의 도시간 전신선(電信線)이 건설되었다. 1845년 아나폴리스에 미국 해군사관학교가 세워졌다. 남북전쟁 동안 메릴랜드는 북부연방을 줄곧 지지했지만,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강한 남부적 성격 때문에 전지역에 계엄이 내려졌다. 남북전쟁의 주요한 군사작전과 전투가 이곳에서 벌어졌다.

지형학상으로 메릴랜드 주는 크게 3개의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① 체서피크 만 어귀 양쪽의 평탄한 해안평야지대, ② 농경에 적합한 훌륭한 토양을 가진 피드몬트 고원지대, ③ 수목이 울창한 구릉성 산지인 애팔래치아 산맥지대 등이다. 해안의 평야와 피드몬트 고원 사이의 경계는, 항해의 한계선인 폭포선(Fall Line)이다. 각 강들의 이런 지점은 정착지로 발전했다. 메릴랜드 주의 강은 대부분 체서피크 만으로 흘러든다. 그러나 서쪽 끝에 있는 요커게이니 강은 북쪽으로 흘러 오하이오 주의 강으로 흘러간다. 동쪽 끝에 있는 델마바 반도의 폭이 좁은 강들은 곧장 대서양으로 흘러들어간다.

메릴랜드 주의 동부는 다습한 아열대성기후이다. 여름기온은 42℃나 되고 상대습도는 대부분의 기간에 100%에 달한다. 겨울에는 일반적으로 얼음이 얼지 않고 눈도 오지 않는다. 주의 서쪽 끝은 대륙성기후이므로 여름은 따뜻하고 겨울은 서늘하다. 평균강우량은 1,000㎜ 이상이고 우기는 여름이다. 삼림이 육지의 약 2/5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초기에 메릴랜드에 정착한 사람들은 주로 영국 농부들과 상인들이었다.

최초로 정착한 캘버트가(家)가 통치할 때 아프리카 노예들이 메릴랜드 주로 팔려오게 되었다. 주에서 가장 큰 도시인 볼티모어는 19세기에 유럽인 이민의 중심지였다. 메릴랜드 주의 대부분은 동부 해안지대의 거대인구지역에 속한다. 주민의 4/5는 도시로 분류되는 지역에 살고 있다. 볼티모어와 워싱턴 D. C.의 대도시권에 주 인구의 4/5 이상이 거주하고 있다.

메릴랜드의 경제는 주로 정부행정 용역과 제조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국방성 시설과 몇몇 큰 연방기구들, 즉 인구조사국이나 식품의약국 등은 주에서 가장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있는 곳들이다. 또 수천 명의 메릴랜드 주 교외거주자들은 매일 워싱턴 D. C.로 출퇴근하며 정부기관에서 일하고 있다. 볼티모어 시에 주(州) 제조업 시설의 약 1/3이 몰려 있다. 종업원 총수가 가장 큰 제조업은 원광석·전기장비·식료품·운송장비 산업 등이다. 주요농업은 낙농업과 목축업이다. 옥수수, 상업용 곡물, 담배, 가금류, 계란 등도 생산된다.

체서피크 만에서 나는 굴·조개·게 등은 어업의 기반이며 주요 광물자원은 역청탄·돌·모래·자갈 등이다. 주간(州間) 간선도로망의 수많은 노선들이 볼티모어와 워싱턴 D. C.에서 방사상으로 퍼져 있다. 이 두 도시에는 환상(環狀) 도로가 있어 간선도로에서 도심을 거치지 않고 우회할 수 있다. 볼티모어 항은, 취급하는 외국선적의 양으로 볼 때 미국에서 가장 큰 항구 중 하나이다.

볼티모어-워싱턴 국제공항은 두 도시의 중간에 있다.

메릴랜드 주의 모든 마을·도시·시골 지역들은 사실상 과거의 유적(역사적 건물, 기념물, 박물관, 축제)이나 체서피크 만에서 나는 산물들 또는 스포츠나 예술행사 등으로 제각기 특색을 갖고 있다. 앤티텀 전장(戰場), 애서티그 섬, 체서피크-오하이오 운하, 포트 매켄리 등은 국립공원 사업단이 관리하는 지역들이다.

주에서 볼티모어 교향악단, 미술관, 상설극장 등에 매년 보조금을 지급한다. 메릴랜드대학교가 가장 큰 대학이며 주목할 만한 연구기관으로는 존스홉킨스대학교·세인트존스대학·고처대학 등이 있다. 

지도
메릴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