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키

라스키

다른 표기 언어 Harold J(oseph) Laski
요약 테이블
출생 1893. 6. 30, 영국 맨체스터
사망 1950. 3. 24, 런던
국적 영국

요약 영국의 정치학자·교육자.

해롤드 라스키(Harold Laski)
해롤드 라스키(Harold Laski)

1930년대에 '영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로 전향했다. 옥스퍼드대학교 뉴칼리지에서 수학한 뒤 캐나다 몬트리올의 머길대학교(1914~16)와 미국의 하버드대학교(1916~20)에서 가르쳤다.

하버드 시절에 펴낸 〈현대 국가에서의 권위 Authority in the Modern State〉(1919)와 〈주권의 기초 The Foundations of Sovereignty and Other Essays〉(1921)는 주권국가의 전능성을 배격하고 정치적 다원주의를 주장한 것이었으나 1925년의 〈정치학 개론 Grammar of Politics〉에서는 국가를 '사회의 기초적 제도'로 규정함으로써 종래의 입장을 반전시켰다.

라스키는 1920년 귀국하여 노동당에 가입했고 1923년의 선거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1926년에는 런던정치경제대학교의 교수가 되었고 사망시까지 재직하면서 정치학을 강의했다. 그는 1930년대의 경제위기를 바라보면서 지배계급에 의한 개혁의 가능성을 의심했으며, 결국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하게 되었다.

라스키는 〈국가의 이론과 실제 The State in Theory and Practice〉(1935)·〈유럽 자유주의의 출현 Rise of European Liberalism : An Essay in Interpretation〉(1936)·〈영국 의회정치론 Parliamentary Government in England : A Commentary〉(1938)을 통하여 자본주의 체제의 경제적 위기가 민주주의를 파멸로 이끌지도 모른다고 내다보았다. 그는 오직 사회주의만이 번성하는 파시즘에 대한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생각했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 라스키는 윈스턴 처칠 내각의 부총리인 클레멘트 애틀리의 정치고문이 되었다.

〈우리 시대의 혁명에 관하여 Reflections on the Revolution of Our Time〉(1943)와 〈신앙, 이성 그리고 문명 : 역사적 분석을 중심으로 Faith, Reason, and Civilization : An Essay in Historical Analysis〉(1944)에는 광범위한 경제개혁의 필요성이 재차 역설되어 있다. 1945년 라스키는 노동당 당수로 선출되었고 그해 총선을 승리로 이끌었는데 부분적으로는 그의 정치적 신조에 힘입은 바 컸다. 그밖의 저술로 〈미국의 대통령제 The American Presidency : An Interpretation〉(1940)와 그 내용이 방대하고 논란이 많은 〈미국의 민주주의 The American Democracy : A Commentary and Interpretation〉(194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