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무스

라무스

다른 표기 언어 Petrus Ramus
요약 테이블
출생 1515, 피카르디(지금의 프랑스) 퀴
사망 1572. 8. 26, 파리
국적 프랑스

요약 프랑스의 철학자·논리학자·수사학자.
Pierre de la Ram대체이미지e라고도 함.

퀴에서 교육받았으며 1536년 파리 콜레주 드 나바르에서 문학석사학위를 받았다. 파리 콜레주 뒤 망과 콜레주 드 라브 마리에서 아우도마루스 탈라이우스(오메르 탈롱)와 함께 일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을 새롭게 해석해서 가르쳤다. 탈라이우스는 라무스의 영향을 받아 라무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오르가논〉을 재정리할 때 적용한 원칙에 따라 키케로의 수사학을 새롭게 정리했다.

이러한 혁신은 파리대학의 정통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철학자들의 분노를 샀다. 그들은 1544년 프랑수아 1세를 설득하여 혁신된 논리학에 관한 라무스 저서의 발매는 물론 그가 이 논리학을 가르치는 것도 금지시켰다. 그러자 샤를 드 로렌 추기경이 앙리 2세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이용하여 1547년에 라무스에 대한 탄압을 해제해 주었다.

1551년 콜레주 드 프랑스의 철학과 웅변술 흠정(欽定) 강좌 담임교수로 임명되었다. 1561년경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했으며, 말년에는 주로 학계와 교회 내부의 적대자들에게 박해를 받았다.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대학살'이 일어난 지 2일 뒤 청부암살자에게 살해당했다.

라무스는 논리학과 변증법을 같은 것으로 보면서 논리학이 전통적으로 행해온 탐구방법으로서의 역할을 무시하고 대신 논리학을 논쟁방법으로 보는 또 하나의 전통적 견해를 강조했다.

이에 따르면 논리학에는 2부분이 있는데, 하나는 논제를 지지하는 증명을 찾아내는 과정인 '고안'이고 다른 하나는 고안의 구성요소들이 배열되는 방식을 가르치는 '배치'이다.

라무스의 논리학은 16, 17세기에 유럽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다작 작가인 그의 유명한 책으로는 〈변증법의 구분 Dialecticae partitiones〉(1543)·〈아리스토텔레스 비판 Aristotelicae animadversiones〉(1543)·〈변증법 Dialectique〉(1555)·〈2권의 변증법 책 Dialecticae libri duo〉(155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