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

땅콩

다른 표기 언어 peanut 동의어 낙화생, 落花生, 낙화송, 落花松, 낙화삼, 落花蔘, 남경두, 南京豆, 향두, 香豆, 향우, 香芋, 만세과, 萬歲果, 당인두, 唐人豆, 번두, 蕃豆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장미목 > 콩과
원산지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서식지 모래땅
크기 약 30cm ~ 60cm
학명 Arachis hypogaea

요약 주로 식용과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콩과의 식물. 단백질·무기물·비타민이 풍부하고 지방이 많으며 칼로리가 높다. 전 세계 여러나라에서 재배되는데, 성장시기에는 따뜻한 날씨가 5개월 정도 계속되고 600㎜ 이상의 비가 와야 한다. 토양은 물이 잘 빠지며 모래가 섞인 롬질이 가장 적당하다. 주로 식용유와 땅콩버터로 이용되며, 볶거나 소금에 절여 먹고 사탕이나 빵에 넣기도 한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생태
  3. 특징
  4. 재배
  5. 용도
땅콩
땅콩

개요

장미목 콩과에 속한 식물 또는 그 씨앗. 낙화생(落花生), 남경두(南京豆), 호콩이라고도 부른다.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며, 주요 생산국은 미국·인도·중국·서아프리카 등이다. 1년생 식물이며 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거기에서 가지들이 나와 땅에 가깝게 누우면서 뻗는다. 꼬투리의 길이는 2.5~5㎝ 정도이고 한 꼬투리 안에 2~3개의 씨가 들어 있다. 껍질은 얇고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울퉁불퉁하다. 씨껍질의 색은 적갈색·장미색·붉은 오렌지색이 가장 많다. 단백질과 무기물, 지방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씨를 볶거나 조려서 식용하고 식용유를 추출하거나 버터를 만드는 등 식가공품을 만든다.

생태

1년생 식물인 땅콩은 위로 곧추서거나 다발로 무리 지어 자라는데 키는 45~60㎝ 정도이다.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기는줄기가 30~45㎝ 정도 높이로 자라고, 거기에서 길이 60㎝에 달하는 가지들이 나와 땅 표면에 가깝게 누우면서 뻗는다. 줄기와 가지는 단단하고 털이 있으며, 잎은 2쌍의 잔잎이 날개깃처럼 달려 있는 겹잎이다. 꽃은 잎이 나오는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길이가 4㎝에 이르는 가느다란 꽃받침이 마치 꽃자루처럼 보인다. 꽃잎은 금빛이 도는 노란색으로 너비가 약 1㎝이다.

꼬투리는 길이가 2.5~5㎝ 정도이며, 한 꼬투리 안에 2개 또는 3개의 씨가 들어 있다. 꼬투리는 대략 끝이 둥그런 원통 모양이고 씨와 씨 사이가 잘록하게 들어가 있으며, 껍질은 얇고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해면처럼 울퉁불퉁하다. 씨는 긴 타원형에서 거의 둥그런 모양까지 다양하며 씨껍질은 흰색에서 진한 자주색까지 여러 가지 색을 띠나 마호가니 색깔이 나는 적갈색, 장미색 또는 연어의 살색 같은 붉은 오렌지색이 가장 많다.

꽃가루받이가 끝나고 꽃이 지고나면 씨방자루(peg)라 부르는 특이하게 생긴 자루가 꽃의 아래쪽에서 땅쪽으로 길게 나온다. 가늘고 단단한 씨방자루 끝의 뾰족한 곳에 수정된 밑씨가 들어 있으며, 이 끝이 땅속으로 완전히 들어갈 때까지 땅콩자루는 계속 자란다. 씨방자루 끝이 땅속으로 꽤 깊게 들어가고 난 후에야 꼬투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씨방자루는 때로 끝부분이 꼬투리로 익기 전에 10㎝ 이상 자라기도 한다.

꼬투리는 땅속에서 직접 무기양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얼핏 보면 뿌리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꼬투리는 땅속에 뿌리가 자라기에 충분한 양분이 있다 하더라도 칼슘을 적절하게 공급해주지 않으면 잘 자라지 못한다. 땅콩이 자라기 위해서는 성장시기에 따뜻한 날씨가 적어도 5개월 정도 계속되고 이때 600㎜ 이상의 비가 와야 하는데 비가 오지 않으면 그 정도의 물을 뿌려 주어야 한다.

특징

독특하게 열매가 땅속에서 여문다. 땅콩을 일컫는 영어 이름에는 견과를 나타내는 'nut'라는 낱말이 들어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땅콩은 견과가 아니다. 땅콩은 100g 중 단백질 25g, 지질 47g, 탄수화물 16g이 포함되어 있어, 소의 간보다 단백질·무기물 및 비타민이 더 풍부하고, 크림보다 지방이 많으며, 설탕보다 칼로리가 높은 농축식품이다.

재배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이 원산지인 땅콩은 일찍이 구대륙 열대지방으로 들어왔다. 인도·중국·서아프리카와 미국이 무역량이 가장 많은 생산국이다. 아시아에서는 관개하에서 땅콩을 심고 있다. 토양은 물이 잘 빠지며 모래가 섞인 롬질이 가장 적당하며 그 밑에는 부서지기 쉬운 롬질의 심토(心土)를 깊게 깔아준다. 깊게 파묻힌 뿌리만 빼고는 완전히 흙에서 뽑아내어 며칠간 풀이 죽게 놓아둔 다음, 땅에 수직으로 박은 말뚝 주변에 더미째 쌓아 4~6주간 말린 뒤 처리하는 것이 가장 좋다. 꼬투리가 달린 곳을 더미 안쪽으로 향하게 두면 날씨의 변화로부터 열매를 보호할 수 있다.

용도

많은 나라에서 주로 식용유를 얻기 위해 심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수확량의 절반 가량을 갈아서 땅콩 버터를 만든다. 중국에서는 볶거나 소금에 절여 먹으며 사탕이나 빵에 넣어서 먹기도 한다. 꼬투리를 떼어낸 끝부분을 사료용 건초로 쓰지만 때때로 식물 전체를 쓰기도 한다. 땅콩으로 가루비누나 플라스틱 제품 등 300여 가지의 부산물을 만들고 있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20세기초에 행해진 조지 워싱턴 카버의 연구 결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