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성왕

동명성왕

다른 표기 언어 東明聖王 동의어 고주몽, 高朱蒙, 추모왕, 鄒牟王, 추모성왕, 鄒牟聖王, 추몽, 鄒蒙, 중모왕, 中牟王, 仲牟, 고구려 제1대왕
요약 테이블
출생 BC 58
사망 BC 19
국적 고구려, 한국
재위 B.C. 37년∼B.C. 19년
주몽
능묘 용산(龍山)

요약 고구려의 제 1대 왕이자 고구려를 창건한 인물로 성은 고, 이름은 주몽. 해모수가 유화에게 잉태하게 하여 낳은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며, 고구려를 창건하고 비류국, 행인국 등의 여러 성읍국가들을 정복하여 연맹국가로의 통합운동을 전개하여 국가기틀을 마련했다. 이름은 주몽, 추모, 추몽 등으로 기록되었으며 총명하고 활을 잘 쏘았다고 전한다.

성은 고(高). 이름은 주몽(朱蒙)·추모(皺牟)·상해(象解)·추몽(皺蒙)·중모(中牟)·중모(仲牟)·도모(都牟) 등으로 기록되어 전한다. 〈삼국사기〉·〈삼국유사〉·〈제왕운기〉·〈동국이상국집〉·〈광개토왕릉비문〉 등의 관련기사에 의하면, 천제(天帝)의 아들 해모수(解慕漱)와 정을 통하고 버림받은 하백(河伯)의 딸 유화(柳花)가 태백산(太白山) 우발수(優渤水)에서 북부여(北扶餘)의 왕 금와(金蛙)를 만나 그의 궁중에 유폐되어 있었다.

어느 날 해모수가 햇빛이 되어 나타나 유화에게 잉태시켜 알을 낳게 했는데, 여기서 태어난 것이 주몽(부여의 속어로 '활을 잘 쏜다'는 뜻)이라고 전해진다. 총명하고 활을 잘 쏘아 촉망받던 중 대소(帶素) 등 금와왕의 7명의 왕자가 그 재주를 시기하여 죽이려 하자 어머니의 권고로 마리(摩離)·오이(烏伊)·협보(陝父) 등과 함께 화를 피해 남쪽으로 도망갔다. 압록강의 지류인 동가강(佟佳江) 유역의 홀본(忽本 : 懷仁·桓仁)에 이르러 땅이 비옥하고 산천이 험준한 것을 보고 도읍으로 정했다. 나라 이름을 고구려라 하고 성을 고라 하니, 대략 BC 37년에 해당된다. 당시 동가강 유역에는 여러 성읍국가들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가장 우세한 것이 비류국(沸流國 : 일명 多勿國)이었다. 비류국의 지배층도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주몽집단보다 먼저 이동해 정착한 집단이었다.

동명성왕(東明聖王)
동명성왕(東明聖王)

주몽은 BC 36년 비류국의 왕인 송양(松讓)을 굴복시켜 합병했으며, BC 34년에는 성곽과 궁실을 지었다. 이듬해에는 행인국(荇人國)을 정복하고, 다시 BC 28년에는 북옥저를 멸망시키는 등 여러 성읍국가들 사이에 연맹국가(聯盟國家)로의 통합운동을 전개, 국가기틀을 마련해갔다. BC 19년 4월 부여로부터 도망쳐온 아들 유리(類利)를 태자로 삼았다.

그해 9월에 죽자 용산에서 장사지내고, 시호를 동명성왕이라 했다(→ 〈동명왕신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