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다른 표기 언어 arteriosclerosis , 動脈硬化症

요약 동맥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이 상실되는 질환.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

지방 침착물(粥腫)이 혈관의 안쪽 벽에 붙는, 동맥내경화증(動脈內硬化症)이라고도 하는 죽상동맥경화증(粥狀動脈硬化症)과 묀케베르크 동맥경화증이라고도 하며 혈관벽의 중간층에 칼슘 침착물이 생기는 동맥중층경화증(動脈中層硬化症), 그리고 폐색성동맥경화증의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죽상동맥경화증에서 지방 침착물이 쌓이면 반흔 조직과 석회화가 뒤따라 일어나고, 혈관을 침식하여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석회화는 혈관의 탄력성을 잃게 하여 혈압을 높인다.

심근(心筋)에 산소가 많은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죽상동맥경화증이 생기면 산소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심근 일부가 괴사되는 심근경색증(心筋梗塞症)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는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혈관을 넓혀준다.

망막의 소동맥(小動脈)에 생긴 동맥경화증은 시력을 저하시키며, 혈압이 계속 높으면 망막과 시신경이 위축된다.

뇌혈관에 동맥경화증이 생기면 뇌로 가는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의식을 잃고 팔다리가 마비되는 '뇌졸중'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압강하제를 복용한다(→ 뇌출혈). 말초동맥 동맥경화증은 다리로 혈액 공급이 잘 안 되어서 이따금 다리를 절거나 피부궤양을 일으키기도 하며 발과 다리에 감염이 생길 가능성도 높다(→ 뇌종맥경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