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성마비

뇌성마비

다른 표기 언어 cerebral palsy , 腦性麻痺

요약 뇌성마비는 기저핵과 대뇌피질에 있는 복잡한 신경회로의 기능이상을 일으킨다. 뇌의 신경세포와 간질조직, 혈관 등에 종양이 생겨서 오는 것이며, 또한 뇌에서 화학반응이 잘못 일어나 생기는 것으로서 유전성은 아니다.
경련성 뇌성마비인 경우에는 간질증세가 나타나지만 아테토시스형인 경우는 정신박약도 약하고 경련성 발작도 드물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민하고 똑똑한 경우도 있다.
근본적인 치료는 신체적인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심리요법과 교육·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이다.

뇌성마비
뇌성마비

이 용어는 넓은 뜻을 가지는데, 보통 어렸을 때 뇌가 잘못되어 생긴 모든 운동장애를 가리킨다.

젖먹이 때의 뇌성마비에는 강직성과 아테토시스 2가지 형태가 있다. 강직성일 때는 수의근의 심한 마비와 한쪽(편마비 혹은 반측마비) 또는 양쪽(양측마비) 사지의 강직성 수축이 나타나고, 나중에는 강직성 수축과 마비가 팔과 손(리틀 양측마비)보다 하지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거나, 다리에만(대마비) 나타나기도 한다.

아테토시스형은 수의운동의 마비가 없을 수도 있으며 경련성 수축도 약하게 나타나거나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대신 양측 아테토시스일 경우 몸 반쪽의 얼굴·목·팔다리 등에 서서히 경련이 일어나면서 퍼져나가 온 몸이나 일부에 불수의적(不隨意的)인 운동을 일으킨다. 또한 얼굴이 일그러지고 말을 더듬게 되는데, 흥분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

신경세포와 회백질로 된 대뇌피질의 연결부위에 손상을 입은 경우 경련성 마비가 일어나는데, 한쪽 대뇌반구만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대뇌반구 반대쪽에 마비가 일어나며, 양쪽 반구에 손상을 입었을 때는 양측마비가 일어난다. 아테토시스형인 경우, 특히 대뇌피질 속에 있는 기저핵(基底核)이 손상을 받았을 경우에 생긴다. 뇌성마비를 앓았다 해서 꼭 정신박약이 되지는 않으며, 건강한 정신을 가진 어른으로 자라기도 한다.

그러나 어릴 때 대뇌에 질환을 앓으면 자라서 지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에 지장을 받게 되며 가끔 그 정도가 아주 심할 때도 있다. 뇌성마비가 있는 많은 어린 환자들의 경우, 마비된 뇌부분이 지배하는 신체부위에 경련성 발작을 일으키는 간질증세를 보인다. 특히 경련성 뇌성마비인 경우에는 간질증세를 자주 보이지만, 아테토시스형인 경우는 정신박약이 심하지는 않고 경련성 발작증상도 보기 드물다.

경우에 따라서는 예민하고 똑똑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불수의적인 운동과 말더듬 때문에 알아듣기 쉬운 말이나 표시로 자기 뜻을 밝힐 수 없을 때가 많아 정신이상이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뇌성마비의 원인은 많고 다양한데, 다 같이 기저핵과 대뇌피질에 있는 복잡한 신경회로의 기능이상을 일으킨다. 뇌성마비는 분만된 뒤에 뇌에 있는 신경세포와 간질조직, 혈관 등에 종양이 생겨서 오는 것이며, 또한 뇌에서 화학반응이 잘못 일어나 생기는 것으로서 유전성은 아니다.

유전보다는 태아 때 뇌에 생기는 병이나 기형 때문에 뇌성마비가 많이 온다. 예를 들어 부모의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갓난아기한테 황달이 일어나는데, 이는 뇌에 손상을 주어 뇌성마비를 일으킨다. 한때는 출생 때의 질식상태가 뇌성마비의 가장 큰 요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했다. 1980년대의 연구에서는 아이가 분만될 때부터 기형인 것은 태아일 때 뇌가 손상되었다는 것을 말하지만, 이것이 뇌성마비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는 것이 밝혀졌다. 젖먹이 때와 어릴 때 세균에 감염되는 경우, 심하게 머리를 다친 경우, 약물에 중독되는 경우 등 태어난 뒤에 생기는 병 때문에도 드물지만 뇌성마비가 올 수 있다.

근육이완제로 치료하면 일시적인 효과밖에 얻을 수 없고 그 효과도 완전하지 않다.

근본적인 치료는 신체적인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환자에게 유용한 감각, 운동, 지적인 능력 등을 개발하는 심리요법과 교육·훈련 등을 실시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