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

대변

다른 표기 언어 feces , 大便

요약 매일 약 1.5ℓ의 반액상의 유동성인 소화된 물질이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가는데, 이 유동물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전해질이 대부분 흡수되고 약 100㎖에 해당하는 수분만이 대변으로 배출된다. 정상적인 대변은 3/4 정도가 수분이고 1/4 정도는 고형 성분인데, 고형 성분의 약 30%는 죽은 세균들이고 10~20%는 지방질, 10~20%는 인산칼슘 등의 무기물질, 2~3%는 단백질, 나머지 30%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이거나 소화액의 고형성분들과 위장관의 상피세포들이 떨어져 나온 것들이다. 대변의 색깔은 담즙색소인 빌리루빈에서 나온 스테르코빌린과 유로빌린에 의해 만들어진다. 냄새는 세균 분해작용의 부산물에 의한 것으로서 대장 안에 있는 세균의 종류와 먹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대변
대변

매일 약 1.5ℓ의 반액상의 유동성인 소화된 물질이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가는데, 이 유동물질 안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전해질이 대부분 흡수되고 약 100㎖에 해당하는 수분만이 대변으로 배출된다. 염분을 포함한 전해질 대부분은 대장에서 흡수되어 단지 0.001eq.에 해당하는 나트륨과 염소 이온만이 대변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흡수작용은 대장 중 소장에 가까운 쪽 절반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일어나는데 이 부분을 흡수부 대장이라 하고, 반면에 주로 저장기능을 갖는 부분은 항문에 가까운 쪽의 대장인데 이 부분을 저장부 대장이라고 하기도 한다. 대장의 점막은 소장의 점막과 같이 염분을 적극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대장의 점막에서는 탄산수소염 이온을 분비하여 염소 이온의 교환흡수를 촉진시키며, 대장 안에 있는 세균에 의해 분해되어 나온 산성물질을 중화시킨다. 대장 안에는 대장균을 비롯한 수많은 세균들이 존재하는데 특히 흡수부 대장 부위에 존재한다. 대장 안의 세균들은 소량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여 신체가 매일 필요로 하는 열량의 일부를 공급하기도 하는데, 초식동물의 경우에는 이런 과정을 통해 얻는 열량이 많으나 인체의 경우에는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대장 내 세균에 의하여 합성될 수 있는 또다른 물질은 비타민 K, 비타민 B12, 비타민 B1, 비타민 B2, 여러 가지 장내 가스 등이다. 이 가스는 주로 이산화탄소, 수소, 메탄 가스로 구성되어 있다.

정상적인 대변은 3/4 정도가 수분이고 1/4 정도는 고형 성분인데, 고형 성분의 약 30%는 죽은 세균들이고 10~20%는 지방질, 10~20%는 인산칼슘 등의 무기물질, 2~3%는 단백질, 나머지 30%는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 찌꺼기이거나 소화액의 고형성분들과 위장관의 상피세포들이 떨어져 나온 것들이다. 대변의 색깔은 담즙색소인 빌리루빈에서 나온 스테르코빌린과 유로빌린에 의해 만들어진다.

냄새는 세균 분해작용의 부산물에 의한 것으로서 대장 안에 있는 세균의 종류와 먹은 음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실제로 냄새가 나게 하는 물질은 인돌·스카톨·황화수소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