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성기후

대륙성기후

다른 표기 언어 continental climate , 大陸性氣候

요약 대륙기단 내에서 일어나는 특징적인 기후 현상 또는 대륙에서 발생하는 것과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는 기후.

일반적으로 기온의 연교차와 일교차가 크고 연간 총강수량이 적으며 낮은 상대습도를 보이는 기후이다.

대륙성기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큰 기온변화의 범위이다. 중앙 및 동부 시베리아 지역에서는 연교차가 60℃ 이상을 나타내며, 캐나다 중부에서도 40~50℃를 기록한다. 일교차도 매우 크게 나타나 몬태나(북위 48.2。)에서는 1월에 10℃, 7월에 16.3℃를 나타냈다. 기온의 일교차가 이처럼 크게 나타나는 원인은 하늘이 맑고 대기가 안정하며 역전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대륙성 강수의 총 연강수량은 300㎜ 이하의 적은 양이며, 한랭건조한 겨울과 덥고 상당히 습한 여름이 나타나 계절에 따른 강수의 변화도 심하다. 예를 들어 허드슨 만 서부의 매니토바(북위 58.8。)에서는 10월과 3월 사이에 총강수량의 단지 7.7%만이 기록된다. 일반적으로 상대습도가 낮은데 이는 특히 겨울철의 낮은 온도로 인해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량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밤에는 함유된 수증기량이 적어 장파복사에 의한 열손실도 더욱 커진다.

이러한 대륙성기후의 특징은 해양의 영향이 적고 복사에 의한 가열과 냉각이 크며, 주로 고기압지역인 대륙 내부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대륙성기후가 가장 극단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은 사막이다. 대륙의 정도를 나타내는 대륙도(大陸度)는 여러 사람들에 의해 정의되었으며 주로 기온변화 범위를 이용하여 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