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미로비치 단첸코

네미로비치 단첸코

다른 표기 언어 Vladimir Ivanovich Nemirovich-Danchenko
요약 테이블
출생 러시아 오주르게티, 1858. 12. 23(구력 12. 11)
사망 1943. 4. 25,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

요약 러시아의 극작가·소설가·연출가.

유명한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공동 설립자이기도 하다. 그는 13세에 연극을 감독했고 여러 가지 무대효과를 실험했다. 모스크바국립대학교에서 정규교육을 받았으며, 재학중에 작가와 비평가로 재능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젊은 극작가로 그가 쓴 희곡들은 모스크바 말리 극장에서 공연되어 아낌없는 찬사와 높은 평가를 받았고, 희곡 부문에서 2개 이상의 상을 받았다.

1891년에는 모스크바 음악협회의 극예술 강사가 되었다. 그의 영향을 받은 러시아 연극계의 배우와 감독들로는 올가 크니페르, 프세볼로드 메예르홀드, 예프게니 바흐탄고프 등이 있다. 교사로서 네미로비치 단첸코가 극예술에 관해 밝힌 가장 중요한 생각은, 오랫동안 짜임새있게 리허설을 하되 연기 스타일은 엄격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 생각은 뒤에 콘스탄틴 스타니슬라프스키의 메소드 연기방식에 반영되었다.

러시아 연극계를 근본적으로 개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한 그는 1897년 스타니슬라프스키에게 만남을 요청하여 연기자의 극장, 즉 새로운 극장의 목적과 운영방침의 개요를 정했다. 이 극장에 처음 붙여진 이름은 모스크바 민중예술극장이었다. 스타니슬라프스키가 작품 공연에 대한 절대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었지만, 네미로비치 단첸코의 기여도 컸다. 제작자이자 문예담당 고문으로서 그는 주로 새로운 희곡들을 읽고 채택하는 일을 맡았으며, 작품해석은 물론 연출문제에 대해서도 스타니슬라프스키를 지도했다.

네미로비치 단첸코는 안톤 체호프와 막심 고리키에게 자신의 극장을 위해 작품을 쓰도록 권고했으며 알렉산드린스키 극장에서 참담하게 실패한 체호프의 작품 〈갈매기 Seagull〉를 성공적으로 재공연하여 명성을 얻었다. 모스크바 예술극장의 연극 개혁을 경가극에도 적용하여, 1920년대초 모스크바 예술음악 스튜디오를 창설하고, 1925년에는 뉴욕에서 〈La Périchole〉·〈Lysistrata〉를 공연하여 대성공을 거두었다. 그의 자서전은 1936년 〈My Life in the Russian Theater〉라는 제목으로 영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