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세포

난세포

다른 표기 언어 egg , 卵細胞 동의어 난자, ovum

요약 암컷의 성세포 또는 배우자.

식물에서는 대배우자(macrogamete)라고도 한다. 동물학에서는 난자, 여러가지 보호막, 영양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캡슐에는 알[卵]이라는 말이 쓰이고, 난세포에 대해서는 난자(ovum)라는 용어가 흔히 쓰인다.

수배우자와 마찬가지로 난세포도 반수의 염색체만 갖고 있다. 그러나 난세포는 발생 초기단계 동안에 배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개는 수컷의 정자보다 크다. 많은 동물은 난세포 속에 많은 양의 영양물질 또는 난황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양은 새끼가 스스로 음식물을 찾아 먹을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 또는 포유류의 경우 모체순환으로부터 영양분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의 시간에 비례해서 많아진다.

식물의 난세포는 발생하는 포자체의 배가 스스로 자랄 수 있을 때까지 포자체가 형성된 식물에게서 양분을 제공받기 때문에 동물에서와 같이 수배우자와의 차이가 그리 많이 나지는 않는다. 이같은 예로는 배우체에서 자라나는 우산이끼류·이끼류·고사리 등과 배우체가 포자체에 기생하는 형태인 종자식물이 있다. 몇몇 자포동물을 제외하고 모든 동물의 난세포는 여러 개의 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가장 안쪽의 막을 난황막이라고 한다.

난황막은 유즐동물·극피동물 등과 같은 무척추동물과 몇몇 하등한 척색동물의 난세포에서는 유일한 막이지만 고등한 모든 척추동물과 여러 무척추동물은 난황막 외에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막을 더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곤충의 알은 두껍고 딱딱한 난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양서류의 알은 젤리층으로 싸여 있다. 조류의 알은 난황막, 흰자위, 2개의 난각막, 외부막인 알껍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은 전체 구조를 흔히 난세포라 한다.

성숙한 난세포는 수정이 일어나지 않아도 단기간 동안은 기능적인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무척추동물·어류·양서류 등의 난세포는 물에 낳은 후 몇 분 안에 수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예외로 바다 성게의 알은 낳은 후 약 40여 시간 동안 생존이 가능하다. 대부분 다른 동물의 난세포는 사람의 난자와 수명이 비슷한 12~24시간 정도이다.→ 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