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집

김홍집

다른 표기 언어 金弘集
요약 테이블
출생 1842(헌종 8)
사망 1896(고종 33)
국적 조선, 한국
종교 유교(성리학)
본관 경주(慶州)
시호 충헌(忠獻)
경능(敬能)
도원(道園)

요약 조선 후기 온건개화파로 근대적 제도개혁에 힘쓴 정치가. 본관은 경주, 자는 경능, 호는 도원으로 1867년 급제한 이후 외교정책의 책임자로서 대외교섭을 담당했으며, 격동기 민심수습과 근대적 제도개혁에 힘썼다. 1894년 12월 군국기무처가 해체될 때까지 총리대신으로 제1차 갑오개혁을 주도하면서 과거제 폐지, 은본위제의 신식화폐제도 채택, 의정부와 궁내부의 관제 시행, 도량형제도의 채택 등의 개혁을 단행했다. 1896년 2월 아관파천으로 내각이 붕괴되고 친러내각이 들어서자 광화문 앞에서 군중들에게 타살되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청년기
  3. 외교활동
  4.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김홍집
김홍집

개요

온건개화파의 거두로 중도개혁노선을 견지하면서 갑신·갑오기 개화정책을 주도했다.

특히 외교정책의 책임자로서 대외교섭을 담당했으며, 격동기 민심수습과 근대적 제도개혁에 힘썼다.

청년기

본관은 경주. 초명은 굉집(宏集), 자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아버지는 대사헌 영작(永爵)이며, 어머니는 성혼(成渾)의 후손이다.

1867년(고종 4) 경과정시(慶科庭試)로 문과에 급제하고, 1868년 승정원사변가주서(承政院事變假注書)에 임명되었다. 1873년에는 권지승문원부정과 승문박사를 겸직하고, 1875년에는 부사과·흥양현감, 1877년에는 사과(司果)를 역임했다. 1878년 이후 호·공·병·예조의 참의를 두루 지냈다.

외교활동

1880년 윤웅렬(尹雄烈)·이용숙(李容肅)·지석영(池錫永) 등과 함께 제2차 수신사로 일본을 방문했다.

이때 황준헌(黃遵憲)의 〈사의조선책략 私擬朝鮮策略〉과 정관응(鄭觀應)의 〈이언 易言〉을 가지고 돌아와 개화정책을 적극 추진하게 한 공으로 예조참판으로 승진했다. 또한 그해말 개화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설치한 통리기무아문의 통상관계를 전담하는 당상경리사(堂上經理事)에 발탁되었다. 1881년(고종 18) 위정척사운동이 격화되면서 전국의 유생들로부터 집중적인 비난을 받자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통리기무아문의 통상사당상(通商司堂上)으로 복직했다.

1882년(고종 19) 3월과 5월 미국·영국·독일과의 수호통상조약 체결 때 전권대신들의 부사(副使)로 협상의 실무책임을 맡았다.

이후 부제학·호조참판·공조참판·경기감사를 역임했다. 특히 임오군란 뒤 전권대신 이유원(李裕元)의 부관으로 일본과 제물포조약을 체결한 외교적 공으로 경기도관찰사로 승진되었다. 이후 진주사(陳奏使) 조영하(趙寧夏)의 부사로 톈진[天津]에 파견되어 흥선대원군의 석방을 교섭하고, 북양대신(北洋大臣) 이홍장의 막료인 마건충(馬建忠)·주복(周馥)을 상대로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을 의정·조인했다. 1883년 규장각직제학, 1884년 지춘추관사·예조판서·한성부판윤·독판교섭통상사무 등을 지내면서 대외교섭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되었다.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온건개화파로서 급진개화파의 갑신정변에 참가하지 않고, 정변이 실패한 뒤 좌의정 겸 외무독판으로 뒷수습을 담당했다.

1885년 일본과 한성조약을 체결하고 판중추부사의 한직으로 밀려났다가 1887년 다시 좌의정에 임명되었으나 곧 사직했다. 1889년에 수원부유수로 좌천되었다가 1894년 갑오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이의 수습을 위해 총리교섭통상사무에 임명되었고, 7월 군국기무처가 신설되자 영의정 겸 군국기무처총재관에 임명되어 내정개혁을 추진했다. 12월 군국기무처가 해체될 때까지 총리대신으로 제1차 갑오개혁을 주도하면서 과거제 폐지, 은본위제의 신식화폐제도 채택, 의정부와 궁내부의 관제 시행, 도량형제도의 채택 등의 개혁을 단행했다.

이후 일본공사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의 간섭으로 내무대신 박영효와 연립내각을 수립하고 홍범14조를 발표하고 제2차 개혁을 주도했다.

의정부를 내각으로, 각 아문은 부(部)로 개편하여 군제개혁·재정개혁을 시행했다. 1895년 박영효·박정양 연립내각에서 제외되나 박영효역모사건으로 박영효가 일본에 망명하자 친미파·친러파 등과 함께 내각을 구성하고 제3차 갑오개혁을 주도했다. 명성황후가 일본 정치낭인들에게 살해되는 을미사변과 단발령으로 전국적으로 의병이 봉기하고, 1886년 2월 아관파천으로 내각이 붕괴되고 친러내각이 들어서자 광화문 앞에서 군중들에게 타살되었다.

저서로는 〈이정학재일록〉과 〈수신사일기〉가 있으며, 유고로는 〈김총리유고 金總理遺稿〉가 있다. 1910년(융희 4) 대제학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헌(忠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