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숙자

김숙자

다른 표기 언어 金叔滋 동의어 자배, 子培, 강호산인, 江湖散人, 문강, 文康
요약 테이블
출생 1389(공양왕 1)
사망 1456(세조 2)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김숙자
김숙자

본관은 선산. 자는 자배, 호는 강호산인. 관(琯)의 아들이며, 종직의 아버지이다. 길재의 문인이다.

1419년(세종 1)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고령현감을 지냈다. 1436년 경학에 밝고 바른 행실을 가진 선비를 추천하는 데 첫번째로 꼽혀 세자우정자가 되었다. 그뒤 선산교수·개령현감·사재감부정·성균관사예 등을 역임했다. 세조가 즉위하자 1456년 벼슬을 그만두고 처가인 밀양으로 내려갔다.

그는 스승인 길재로부터 정몽주의 학통을 이어받아 주자학을 발전시켰으며, 이를 아들 종직으로 하여금 잇게 했다. 학업을 가르치는 데 있어서 〈동몽수지 童蒙須知〉 유학자설정속편을 모두 외우게 하고, 〈소학〉·〈효경〉·사서오경·〈자치통감〉·제자백가의 순으로 했는데, 이 방법은 16세기에 이르러 사림 사이에 일반적인 것이 되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선산 낙봉서원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