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적

기적

다른 표기 언어 miracle , 奇蹟

요약 어떤 문화에서나 기적적인 사건에 대한 믿음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이 믿음은 종교가 가지는 특징이기도 하다. 원시문화에는 자연의 인과관계라는 과학적 개념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못했으므로 '초자연적' 기적이라는 관념도 완전하게 발달되지 않았다. 그러나 그 구성원들은 비상한 사건이나 힘의 작용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들도 의식이나 마법 또는 샤머니즘 등 여러 가지 양식을 통해 보다 정상적인 행동양식들과 통합된다. 유교에서는 기적이 존재할 여지가 없으나 도교는 모든 수준의 중국 민간신앙에서 환술과 환법이라는 수확을 풍부하게 만들어냈다. 그리스·로마 사회에서도 기적은 희귀한 현상이 아니었다.

기적(miracle)
기적(miracle)

어떤 문화에서든 기적적인 사건에 대한 믿음을 찾아볼 수 있으며 이 믿음은 실제로 모든 종교가 가지는 특징이기도 하다.

원시문화에는 자연의 인과관계라는 과학적 개념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못하므로 '초자연적' 기적이라는 관념도 완전하게 발달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그 구성원들도 비상한 사건이나 힘의 작용에 대해 알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들도 의식(儀式)이나, 마법 또는 샤머니즘 등 여러 가지 양식을 통해 보다 정상적인 행동양식들과 통합된다. 이와 유사하게 바빌로니아나 이집트 같은 고대사회의 종교에도 공식적인 기적은 거의 없다. 왜냐하면 신탁(神託)과 같은 어떤 신의 행동이나 우주의 작용도 사물의 정상적인 질서의 한 부분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모든 신화와 마찬가지로 고대인도의 신화 역시 신의 행동에 대한 환상적인 설명들로 가득차 있다.

그러나 브라만교(敎) 경전인 〈우파니샤드〉와 〈브라마나〉를 보면 기적에 대해 점점 더 무관심해졌다는 것이 드러난다. 보다 발달된 다른 신비주의의 표현들과 마찬가지로 이 경전들도 종교적 통찰과 변화라는 정신적 경험만을 유일하게 이야기할 만한 가치가 있는 '기적'으로 간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힌두교에서는 요가 수행자가 보여주는 기적의 힘에 어떤 한계도 없으며 이로써 인도는 전형적인 기적의 땅이 되었다.

유교에서는 기적이 존재할 여지가 거의 없다.

그러나 도교는 모든 수준의 중국 민간신앙에서 환술(幻術)과 환법(幻法)이라는 수확을 풍부하게 만들어냈다. 그리스도교의 경우 〈구약성서〉 전체를 통해 기적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신은 특별히 그의 백성인 이스라엘인들의 역사를 통해 이집트에 발생한 10가지 역병과 같은 '놀라운 일'을 한다.

그리스·로마 사회에서도 기적은 희귀한 현상이 아니었다.

예를 들어 에피다우르스의 아스클레오스 신전에서 행한 것처럼 기적으로 병을 치료하고 신들의 동상이 움직이며 죽은 사람이 부활하고 처녀가 수태하는 등 많은 기적이 이루어졌다. 당시 철학의 비판 역시 명확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예들이 사실로 전해진다. 키케로는 〈예언에 대하여 De divinatione〉에서 기적의 가능성을 부정했다.

초기 불교의 기록에 따르면 고타마 붓다는 '모든 요가 수행자들 가운데 가장 위대한' 존재였던 그가 당연히 지녔던 기적의 능력을 가리켜 그 힘 자체에는 종교적 의미가 전혀 없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대승불교의 전통에는 부처의 유물에 관련된 기적뿐 아니라 그의 탄생과 생애 및 이후의 불교성인들의 탄생과 생애를 기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가 만연했다.

그리스도교 〈신약성서〉에는 예수 그리스도가 특정인들의 요구에 따라 병을 치료하거나 음식물을 넉넉하게 나누어주는 등 여러 가지 기적이 기록되어 있으며 신약시대 이후에도 기적은 그치지 않고 이어졌다. 기적은 그리스도교 성인이 죽은 뒤뿐만 아니라 살아 있을 때도 그들 생애의 일부분을 이룬다.

그리고 기적은 프랑스 루르드 소도시에서 생긴 일을 비롯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다. 성인으로 추앙하는 과정에도 정식으로 인정된 기적이 필요하다.

마호메트는 이슬람교 경전인 〈코란〉이 위대한 기적이라는 원칙 아래 기적과 기적의 힘을 부인한 유일한 종교 창시자이다. 그러나 마호메트가 죽은 뒤에 나온 성인전(聖人傳)에서는 그의 생애를 가장 훌륭한 기적적 일화들로 서술했다.

특히 수피파(派)의 영향 아래 있는 대중적인 이슬람교 신앙에는 기적이 풍부하며 기적을 행한 성인들의 무덤으로 향하는 순례여행 등을 많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