굽다리접시

굽다리접시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굽그릇, 고배, 高杯, 두, 豆

요약 굽다리가 달린 그릇으로 삼국시대, 특히 신라·가야에서 주로 만든 토기의 하나.

굽그릇·고배(高杯)·두(豆)라고도 한다.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초기 철기시대의 유적에서도 출토된 예가 있으나, 주로 김해·경주 등지에서 삼국시대의 발전된 형태가 출토되고 있다. 삼국시대의 것으로 회청색 경질토기 외에 금·은·청동 제품도 있다.

굽다리접시
굽다리접시

이 그릇은 제기(祭器) 또는 껴묻거리로 쓰인 것으로 생각된다. 굽다리접시는 뚜껑, 몸체, 굽다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위는 시기별·지역별로 다른 특성을 갖고 있다. 우선 뚜껑이 없는 것과 뚜껑이 있는 것으로 구분되는데, 처음에는 뚜껑이 없는 적갈색 굽다리접시만 쓰다가 차츰 2종류 모두 쓰게 되며, 회청색 토기가 주류를 이루게 된다. 몸체는 단(段)이 있는 형태에서 차츰 단이 사라지고 뚜껑받이가 생기면서 납작한 형태로 발전한다.

굽다리는 단이 있는 형태에서 나팔형·사다리형으로 길어지다가 정삼각형·원추형으로 짧아지는 변화를 보인다. 굽다리에는 1~2단의 구멍이 뚫려 있는데 지역에 따라 형태·배열을 달리하며, 원형·장방형·방형·불꽃형·삼각형 등이 있다. 뚜껑과 몸체에는 집선문(集線文)·문살무늬·톱니무늬·고리점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굽다리접시가 출토된 유적으로는 김해 부원동·예안리, 경주 98호분·109호분, 부산 복천동, 고령 지산동, 금령총, 천마총, 부부총, 안압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