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감시

국자감시

다른 표기 언어 國子監試

요약 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진사를 뽑던 시험.

최종고시인 예부시의 예비고시에서 비롯되었다. 감시·남성시·진사과·사마시·성균시·거자시 등으로 불리기도 했고, 출제 내용에 따라 백자과·사부시·시부시 등으로도 불렸다.

1031년(덕종 즉위년) 처음 시행했으며, 그 기원은 현종 때 실시한 계수관시에서 찾을 수 있다. 제술업과 명경업으로 나누어 예부시 선발인원의 3배 가량을 뽑았다. 응시할 수 있는 자는 양인 이상으로 계수관시에서 선발된 향공과 사학의 12생도, 일반 국학생, 그리고 입사직인 서리 등이었다.

합격하면 예부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고 진사가 되어 군역과 신역을 면제받았으며, 사적에 등록되기도 했다. 이러한 특권 때문에 고려말에 이르면 '분홍방'이라 불릴 정도로 문벌자제의 독점물이 되어 여러 차례 폐지하자는 주장이 나왔으나 실행되지 않다가, 조선 건국 후 폐지되고 생원시만 남았다. 그뒤 문종 이후에 진사시라는 이름으로 다시 설치되어, 생원시와 함께 소과라 하였다.

〈고려사〉 선거지에 나오는 국자감시를 달리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즉 예부시의 예비시험은 감시이며, 국자감시는 단지 국자감에 입학하는 자격시험으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