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슬이끼

구슬이끼

다른 표기 언어 apple moss
요약 테이블
분류 선태식물 > 선강 > 참이끼목 > 구슬이끼과
원산지 오세아니아 (호주), 유럽 (러시아), 북아메리카, 아시아 (대한민국,일본,중국)
서식지 산, 땅, 암반, 암벽
크기 약 1cm ~ 3cm
학명 Bartramia pomiformis
꽃말 모성애

요약 참이끼목에 속하는 이끼식물. 호주와 러시아, 북아메리카 등이 원산지이고, 산과 땅, 암반 등에 서식한다. 크기는 1~3cm 정도이다. 꽃말은 ‘모성애’이다. 포자낭이 사과 모양으로 생긴 것이 특징이다. 유사종으로는 아기구슬이끼가 있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형태와 생태
  3. 종류
구슬이끼
구슬이끼

개요

선강 참이끼목 구슬이끼과에 속하는 선태식물. 학명은 ‘Bartramia pomiformis’이다. 포자낭이 구슬처럼 생긴 이끼라고 하여 ‘구슬이끼’라는 이름이 붙었다. 크기는 약 1~3cm이다. 원산지는 호주와 러시아, 북아메리카 등으로, 한국에서는 유사종인 아기구슬이끼도 발견할 수 있다.

형태와 생태

크기는 약 1~3cm이다. 사과 모양의 포자낭이 달리며 넓고 높은 방석 모양을 하고 자란다. 보통 곧추서서 자라고 윗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졌으며 줄기 아랫부분은 적갈색으로 중절모 모양의 털이 있다. 각 잎의 윗부분은 가장자리가 톱니 모양이다. 원산지는 호주와 러시아, 북아메리카, 한국, 일본, 중국이고, 주로 북반구에 분포하며 산이나 땅, 암반, 암벽, 바위가 있는 숲에 서식한다. 습한 곳에서 잘 자란다.

종류

100여 종으로 이루어진 구슬이끼속에 속하는 1종류이며 북아메리카에 10여 종의 구슬이끼속 식물이 자라고 있다. 한국에 자라는 구슬이끼속 식물로는 구슬이끼와 아기구슬이끼가 있는데 깊은 산 속의 양지쪽 땅 등에 작은 덩어리를 이루며 자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