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교육철학

다른 표기 언어 philosophy of education , 敎育哲學

요약 플라톤이 〈국가〉에서 교육에 관한 사상을 제시한 이래 교육관이나 교육사상이 교육철학의 역할을 하였으나, 18세기 후반 대학에 교육론강좌가 생기고 19세기 후반 철학과에서 교육철학을 담당하면서부터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교육학의 한 분야로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교육철학이 철학과에서 독립하여 본격적으로 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하면서부터이다.
교육철학은 철학 지식을 교육에 응용하는 '교육의 철학'과 교육철학을 독자적으로 성립시키려는 '교육적 철학'으로 나눌 수 있다. 교육의 철학은 존재론·인식론·가치론·논리학 등을 응용하여 교육의 가능성, 교육과 지식, 교육목적과 윤리, 교육학 개념과 논리적 근거 등을 연구한다. 교육적 철학은 교육과학과 구분되면서 교육학의 인식론과 교육개념의 형이상학을 포함한다.

플라톤이 〈국가〉에서 교육에 관한 사상을 제시한 이래, 서구에서는 교육관이나 교육사상이 교육철학의 역할을 하였으나, 18세기 후반 대학에 교육론강좌가 생기고, 19세기 후반 철학과에서 교육철학을 담당하면서부터 학문적 발전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본격적인 교육학의 한 분야로 정립되기 시작한 것은 교육철학이 철학과에서 독립하여 본격적으로 교육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하면서부터이다. 교육철학은 전통적인 관점에서 철학적 지식을 교육의 분야에 응용하는 '교육의 철학'(philosophy of education)과 교육철학을 독자적으로 성립시키려는 '교육적 철학'(educational philosophy)으로 나눌 수 있으나 명확한 것은 아니다.

플라톤(Platon)
플라톤(Platon)

교육의 철학은 존재론·인식론·가치론·논리학 등을 교육의 분야에 응용하여 교육의 가능성, 교육과 지식, 교육목적과 윤리, 교육학의 개념과 논리적 근거 등을 연구한다. 이러한 교육철학은 분석철학·현상학·해석학·구조주의·실증주의·마르크스주의·실존주의 등 철학적 사조에 따라 연역적으로 교육에 접근하려 한다. 한편 교육적 철학은 자연과학에 대한 과학철학의 관계처럼 교육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교육과학과 구분되면서, 교육학의 인식론과 교육개념의 형이상학을 포함한다.

미국에서 1930년대 이래 전개되어 온 진보주의 교육철학이나 본질주의 교육철학과 같은 것이 이 유형에 속하며, 이는 교육현상을 철학적으로 탐구하여 기존의 철학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교육철학을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교육철학이 철학의 영향력을 얼마나 벗어났는가는 분명하지 않다. 따라서 교육철학은 ① 교육학의 이론과 개념들을 논리적으로 정당화하고, ② 교육적 가치판단의 준거를 밝히며, ③ 새로운 이론적 대안을 제공하는 등 교육현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을 기울임과 동시에 교육철학을 독자적인 연구영역으로 성립시켜야 한다는 과제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