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안

공안

다른 표기 언어 公案

요약 선불교, 특히 임제종에서 선(禪)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정진을 돕기 위해 사용하는 간결하고도 역설적인 문구나 물음.

화두라고도 한다. 공안을 풀기 위해 분석적인 사고와 의지적인 노력을 다하는 동안 사고의 전환이 이루어져 직관수준에서 적절한 답을 찾을 수 있는 준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사는 수행자에게 참선에서 얻은 경험의 어떤 부분을 전수해주고, 또한 수행자의 역량을 시험해본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양손이 마주칠 때 소리가 난다. 한 손으로 손뼉을 칠 때 나는 소리를 들어보라'라고 문제를 제공하는 식이다. 때로 문답식으로 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부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뜰 앞의 잣나무'라는 대답을 공안으로 들기도 한다.

원래 중국에서 공부의 안독이라고 하는 말에서 나온 공안은 선사의 언행록에서 뽑아 모은 것이다. 현재 모두 1,700개가 전해진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 공안집으로는 1125년에 중국 승려 원오가 그전부터 있던 공안집에서 100개 정도를 가려내어 편집·주석한 〈벽암록 碧巖錄〉과 1228년에 중국 승려 혜개가 48개를 모은 〈무문관 無門關〉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