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이왕

고이왕

다른 표기 언어 古爾王 동의어 백제 제8대 왕, 구이왕, 久爾王, 고모왕, 古慕王, 부여고이, 扶餘古尒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286(고이왕 53)
국적 백제, 한국
재위 234년∼286년

요약 중앙 집권적 지배체제 기반을 다진 백제의 제 8대 왕. 제 5대 초고왕의 동생으로 구수왕이 사후 아들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나이가 어려 정치를 할 수 없자,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으며, 즉위 후 좌장을 설치하여 족장들의 군사력을 약화시키면서 왕권을 강화했다. 대내적으로는 6좌평 16관등제를 마련하여 중앙집권적 지배체제 기반을 다졌다. 대외적으로는 목지국을 압도하여 영역을 확대하게 되었다.

백제의 제8대 왕. 제4대 개루왕의 둘째 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의 동생이다. 제6대 구수왕이 죽은 뒤 큰아들 사반왕이 왕위를 계승했으나 어려서 정치를 할 수 없자, 사반왕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국가체제의 정비와 집권력의 강화에 주력하여 고대국가로서의 백제의 기반을 다져놓았다. 즉위 후 집권력 강화를 위해 좌장을 설치하여 내외병마권을 관장케 함으로써 족장들의 독자적인 군사력을 약화시켰고,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 중앙관등제인 6좌평·16관등제를 마련했다. 또한 관리들의 규율을 강화하기 위하여 뇌물수수를 금지하는 범장지법을 제정했으며, 남쪽 평야지대에 논을 개간하도록 하여 농업생산력의 증대를 장려했다.

대외관계에서는 직산에 자리잡은 목지국의 세력을 압도하여 이전의 부용관계를 청산하고 한강유역의 실질적인 영도세력의 위치를 확립했으며, 낙랑군·대방군을 공격했다. 이와 같이 고이왕 때는 안으로는 지배체제를 정비함으로써 집권력의 강화를 보게 되었고, 밖으로는 영역을 확대하여 중국 군현과 대등한 위치에 올라서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