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

고사

다른 표기 언어 告祀

요약 간단히 상을 차려 소원을 비는 형식.

굿에 가무가 수반된다면 고사는 간단한 비념으로 대신한다. 상량문을 올리는 상량고사, 봄에 출어하기 전에 마을의 선주들과 어민들이 함께 올리는 뱃고사, 개업 때에 하는 열림고사 등은 소원성취를 바라는 심정을 잘 보여준다.

가정에서는 음력 10월 상달에 오곡을 거두고 나면 1년 동안의 노고를 위로하며, 햅쌀로 떡을 빚어 집안의 신(神)인 성주·조왕·문신(門神)·철륭·삼신·터주·칠성단(七星壇) 등에 바친다. 또는 집 뒤의 장독대에 청수만을 떠놓고 간단한 비념으로 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풍물패가 하는 고사굿도 있다.

경상도의 지신밟기굿, 전라도의 마당밟기굿, 강원도의 고사굿 등은 마을 풍물패가 하는 고사굿들이다. 강원도의 경우, 고사굿은 음력 정월 보름부터 수일 동안 한다. 이때 굿하는 행위를 '친다'고 하는데, 서낭굿을 친 다음 길군악을 치며, 마을로 내려와서 집집마다 들러 고사굿을 치는데, 대문 앞에서 문전굿을 치고서, 황덕굿·성주굿·지신굿을 치면 주인은 고사반(告祀盤)을 차려놓는다. 마루에 소반을 놓고 쌀 한 그릇 놓고, 그 위에 실 한 타래와 돈 몇 푼을 놓은 다음 작은 그릇에 청수를 떠놓고 촛불을 켜놓는다. 실을 놓는 것은 자손의 명이 길라는 뜻이다.

주인이 고사반을 차려놓으면 풍물을 그치고 상쇠가 고사반 앞에 서서 고사소리를 하며 고사를 드린다. 지역에 따라서는 고사반을 꽃반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