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후학

고기후학

다른 표기 언어 paleoclimatology , 古氣候學

요약 과거 지질시대의 광범위한 기후조건을 연구하는 학문.

고기후학자들의 주요목적은 지구형성 이후 어떤 지질시대 동안에 나타난 지구상 모든 지역의 기후를 설명하는 데 있다. 고기후학 연구에는 많은 관련분야 학문들이 도움을 주고 있는데, 지질학과 고식물학은 고기후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자료를 제공하며 추리적인 설명은 주로 천문학·대기물리학·기상학·지구물리학 등의 자료를 이용한다.

지구의 과거와 현재 기후조건을 연구하는 데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은 첫째 지구와 태양의 관계변화(예를 들어 지구궤도의 미세한 변화), 둘째 화산폭발, 조산운동, 초대륙 판게아(Pangaea)가 분열된 뒤 대륙이 나누어진 것과 같은 지구 표면 자체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고기후에 대해서 과거에 풀리지 않던 몇 가지 문제들은 대체로 설명되어가고 있다. 고기후학자들은 과거 5억 7,000만 년 동안 지구 북반구의 따뜻한 기후는 위도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일어난 대륙이동 때문이었다는 것과, 현재로부터 1억 5,000만 년 전까지는 북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대륙이 현재 위치보다 훨씬 더 적도에 가까워졌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빙하의 불규칙적인 전진과 후퇴, 즉 빙기와 간빙기가 번갈아 나타나는 원인과 같은 문제들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