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

다른 표기 언어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 經濟活動人口

요약 '생산연령인구'(working age population) 가운데에서 학생·주부·환자 등 생산활동을 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실제로 일을 하려는 의지가 있는 사람들의 총수. 생산연령인구란 나라마다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의무교육을 마치고 취업이 가능한 시기인 14~15세를 하한선으로 두어 그 이상의 인구를 포함시킨다. 한국의 경우 생산능력이 없다고 평가되는 만 14세 이하의 인구를 비생산연령인구로, 15세 이상의 인구를 생산연령인구로 구분한다.

목차

접기
  1. 개요
  2. 경제활동인구, 취업률, 실업률
  3. 현황
경제활동인구
경제활동인구

개요

노동시장에 노동을 공급함으로써 경제생활에 기여할 수 있는 인구. 경제활동인구는 국제노동기구(ILO)가 각국 노동력에 관해 정확하고 통일적인 조사활동을 펼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사용했던 개념이다. 어느 한 나라의 '생산연령인구'(working age population) 가운데에서 학생·주부·환자 등 생산활동을 할 능력이나 의사가 없는 사람들을 제외한 인구를 가리킨다. 생산연령인구란 나라마다 다양한 기준에 의해 분류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의무교육을 마치고 취업이 가능한 시기인 14~15세를 하한선으로 두어 그 이상의 인구를 포함시킨다. 생산연령인구를 규정할 때 아직까지 연령의 상한선을 설정한 예는 없다.

경제활동인구, 취업률, 실업률

한국의 경우 생산능력이 없다고 평가되는 만 14세 이하의 인구를 비생산연령인구로, 15세 이상의 인구를 생산연령인구로 구분한다. 경제활동인구는 한 나라의 '잠재노동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서, 수입(收入)을 목적으로 현재 일을 하고 있는 취업자와, 일은 하고 있지 않지만 일을 찾고 있는 실업자를 모두 포함한다. 노동가능인구 가운데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을 비경제활동인구라고 한다. 한편 경제활동인구에서 취업자수를 제외하면 실업자수가 된다. 또한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취업자의 비율에서 취업률을,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실업자의 비율에서 실업률을 얻을 수 있다. 실업률은 실업자수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누고 100을 곱하여 산출한다.

현황

통계청 고용동향에 의하면, 2017년 2월 기준 한국의 15세 이상 인구는 4,363만 3,000명, 경제활동인구는 2,713만 8,000명, 취업자수 2,578만 8,000명, 실업자수 135만 명이며, 전체 실업률은 약 5.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