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신화

건국신화

다른 표기 언어 建國神話

요약 우리나라의 건국신화는 <삼국사기>·<삼국유사>·<광개토대왕비문>·<동국이상국집>·<제왕운기>·<대동운부군옥>·<세종실록> 지리지·<동국여지승람> 등 고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주인공들은 단군·고주몽·박혁거세·석탈해·김알지·김수로왕 등이다. 고려와 조선의 건국신화는 신화시대 이후 역사시대에 정치적 목적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건국신화라기보다는 역사적 전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건국신화에는 건국시조가 하늘에서 내려와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다는 2가지의 공통 요소가 있다. 건국신화의 출현은 문학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건국신화의 시조가 신이면서도 역사적 인물이라거나, 다른 집단을 정복하여 나라를 세운 것이 하늘의 도움으로 가능했다는 우월감의 과시는 고대문학의 뚜렷한 특징이다.

건국신화
건국신화

지금은 구비전승의 현장을 떠나 〈삼국사기〉·〈삼국유사〉·〈광개토대왕비문〉·〈동국이상국집〉·〈제왕운기〉·〈대동운부군옥〉·〈세종실록〉 지리지·〈동국여지승람〉 등 고문헌에만 기록되어 있다. 〈논형 論衡〉이나 〈위서 魏書〉 등 중국의 문헌에도 실려 있다. 주인공들은 단군·고주몽·박혁거세·석탈해·김알지·김수로왕 등이다.

고려와 조선의 건국신화는 신화시대 이후 역사시대에 정치적 목적에서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건국신화라기보다는 역사적 전설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제주도의 삼성(三姓)신화도 건국신화라고 할만 하나, 시조신화의 성격이 더 짙다. 건국신화의 형식이나 구조는 정리하기가 쉽지 않은데, 건국시조가 하늘에서 내려와(건국주들의 비정상적인 탄생과 성장과정), 도읍을 정하고 나라를 세웠다는 2가지 요소는 공통적이다.

건국과정에는 흔히 여러 가지 고난과 투쟁을 거쳐 승리한다는 화소(話素)가 들어 있어, 건국신화의 주인공들에게 나타나는 인간적인 모습을 강하게 부각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건국신화가 현세적이고 역사적인 세계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이는 원래 부족신이었던 건국신화의 주인공이 후대에 역사화하여 국조로 되었다는 견해에 기댄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성과에 따르면 고대국가의 성립시기는 청동기시대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청동기시대에는 밖으로는 정복전쟁을 통해 다른 집단을 아우르고 안으로는 지배와 복종이라는 사회관계를 세우고자 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자기나라를 자랑하는 건국신화가 필요했을 것이다. 건국신화의 출현은 문학사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건국신화의 시조가 신이면서도 역사적 인물이라거나, 다른 집단을 정복하여 나라를 세운 것이 하늘의 도움으로 가능했다는 우월감의 과시는 이전의 원시시대와는 매우 다른 고대문학의 뚜렷한 특징이다. 즉 건국신화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서 원시시대의 신화적 원형을 빌려와 건국을 위한 투쟁과 승리의 역사를 나타내고, 국가적 질서 수립을 위한 이념까지도 표현함으로써 원시문학과 구별되는 고대문학이 나타난 것이다. 이런 견해에서 보면, 건국신화의 출현은 문학사의 시대를 구분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