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방대학

개방대학

다른 표기 언어 open university , 開放大學 동의어 공개대학, 산업대학, 産業大學

요약 평생교육과 평등교육의 이념을 바탕으로 설립된 교육기관. 공개대학이라고도 한다. 일정한 학교 교육을 마치거나 중단한 근로청소년과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며, 일반대학과는 다르게 입학을 위한 특별한 자격 조건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영국의 개방대학은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개방대학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한국의 경우 방송통신대학교와 사이버대학에서 개방대학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목차

접기
  1. 정의
  2. 유래
  3. 한국의 개방대학

정의

평생교육의 이념에서 출발한 교육정책의 일환으로서, 일정한 학교 교육을 마치거나 중단한 근로청소년과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교육기관. 공개대학이라고도 한다. 일반 대학과는 달리 성별·연령·직업 등과 교육의 시기·대상·장소·교육방법 등의 제약 없이 운영된다.

유래

유럽 국가들과 미국에서는 19세기말부터 시행되었는데, 이중에서도 영국의 개방대학(Open University)이 대표적이다. 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개방대학으로 평가받는 영국의 개방대학은 1960년대 영국의 노동당 예비선거에 출마한 해롤드 윌슨(Harold Wilson)이 처음 제안한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해롤드는 풀타임으로 일하는 성인들이 파트타임으로 공부하면서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고 교육의 평등권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으로서 개방대학의 설립을 주장하였고, 마침내 1969년 설립되었다. 이후 1971년 개교한 개방대학의 첫 등록 인원은 2만 4천 여 명이었다. 입학을 위한 특별한 자격 조건은 없으며, 18세 이상의 성인이라면 누구나 지원하여 입학할 수 있다. 모든 강의가 영어로 진행되기 때문에 외국인의 경우에만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실력이 요구 된다.

한국의 개방대학

한국에서 개방대학 제도를 처음으로 도입한 것은 1982년 3월 경기공업전문대학(지금의 서울과학기술대학)에 개방대학을 설치하면서부터였다. 서울을 시작으로 부산·대전·광주·대구·군산 등 전국 8곳에 개방대학을 신설하였으며, 이후 1998년 개정된 <고등교육법>에 따라 개방대학에서 산업대학으로 그 명칭이 변경되었다. 개방대학의 개념에서 국내 실정에 맞추어 변형된 산업대학은 근로청소년과 일반 성인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을 목표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산업대학들이 점차 일반대학으로 통폐합되면서 평생교육과 평등교육 기관으로서 개방대학의 의미가 퇴색되었고, 일반대학과의 경계가 모호해졌다. 오히려 1972년 3월 설립되어, 국내 유일의 방송통신대학이자 최대 규모의 성인계속교육기관으로 성장한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개방대학의 교육의 평등성과 평생교육의 이념에 부합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잡았다. 또한 1995년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가 발표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비전을 바탕으로 마련된 사이버대학도 방송통신대학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