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보

가보

다른 표기 언어 Naum Gabo 동의어 나움 네에미야 페브스너, Naum Neemia Pevsner
요약 테이블
출생 1890. 8. 5, 러시아 브리얀스크
사망 1977. 8. 23, 미국 코네티컷 워터베리
국적 러시아

요약 러시아 태생의 선구적인 구성주의 예술가.
본명은 Naum Neemia Pevsner.

가보(Naum Gabo)
가보(Naum Gabo)

유리·플라스틱·금속·철사 등을 조각작품의 재료로 사용하여 전통적인 양괴(量塊) 개념을 거부하고 공간적인 운동감을 추구했다.

뮌헨대학에서 의학·자연과학·공학을 공부했으며, 1913년에는 뮌헨에서 피렌체와 베네치아까지 도보여행을 하면서 미술과 건축양식을 탐구했다. 젊었을 때 화가인 형 앙투안 페브스너와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이름을 가보로 바꾸었다. 1913~14년 파리에 있으면서 아방가르드 운동에 관여하던 아르키펜코와 그밖의 사람들을 만났다.

1915년 스톡홀롬에서 입체파의 영향을 받은 첫번째 조각들을 제작했는데, 셀룰로이드와 금속으로 만든 〈여인의 머리 Head of a Woman〉(1916)는 그중 하나이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그는 형과 함께 오슬로에서 살았다. 그곳에서 그들은 러시아인 동료 블라디미르 타틀린이 주장한 구성주의 노선을 따라 작업을 시도했다.

러시아 혁명 후 러시아에 돌아온 가보와 페브스너는 정치권력이 예술을 탐구의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선전용으로 이용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20년 그들은 구성주의의 '리얼리즘 선언'(Realistic Manifesto)을 발표하고 그 선언문을 모스크바 거리에 뿌리고 게시했다. 그들은 선언문에서 본질을 추구하는 예술은 공간과 시간의 개념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진리탐구를 위한 자신들의 기법과 예술가의 권리를 역설했다.

1920년 그는 43㎝의 강철날 모양의 움직이는 조각을 제작했는데 이것은 그의 주장을 잘 반영하는 작품이었다.

1922년 그는 러시아를 떠나 10년 동안 독일에 살면서 모호이 노디 등과 함께 작품활동을 했다. 1932년 파리로 갔다가 뒤이어 영국에서 1936~46년까지 살았다. 1946년 미국으로 이주했으며 1953~54년에는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에서 강의했다.

가보의 작품주제는 〈나선의 테마 Spiral Theme〉(뉴욕 현대미술관 소장)·〈구(球)를 주제로 한 반투명 변형물 Translucent Variation on Spheric Theme〉(1951,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공간의 선형 구성 4 Linear Construction in Space, Number Ⅳ〉(1957~58, 뉴욕 휘트니 미술관 소장) 같은 제목들에 암시되어 있다.

가장 인상적인 작품으로는 1955년 로테르담의 비옌코르프 건물에 세우기 위해 주문 제작하여 1957년에 제막한 조각작품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