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지기타령

가루지기타령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변강쇠타령, 변강쇠가, 횡부가, 橫負歌

요약 조선 후기에 연행되던 판소리 12마당 중의 한 곡.

〈변강쇠가〉·〈변강쇠타령〉·〈횡부가 橫負歌〉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창으로 전승되지는 않지만, 송만재(宋晩載)가 1843년에 쓴 〈관우희 觀優戱〉와 이유원(李裕元)의 〈관극팔령 觀劇八令〉 가운데 칠언시로 기록되어 있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이 작품은 실전(失傳) 판소리 일곱 마당 가운데 유일하게 신재효에 의해 판소리 사설로 정착된 작품이기 때문에 실전 판소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신재효가 사설로 정착시킨 시기는 작품 중의 '신기년괴역'(辛己年怪疫)이란 구절을 통해 신사년(1881) 이후로 추정되고, 또한 조선 말기의 명창 송흥록·장자백 등이 잘 불렀다는 기록이 있어 적어도 19세기말까지 연행되다가 20세기 이후 판소리의 전승과정에서 소리의 맥이 끊겼음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박동진(朴東鎭)이 신재효 사설을 바탕으로 소리를 재현하여 가끔 부르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전반부는 평안도의 음녀(淫女) 옹녀와 삼남(三南)의 잡놈 변강쇠가 청석골에서 서로 만나 함께 사는 내용이다. 옹녀는 여러 도회지를 전전하며 들병장사, 막장사 등으로 어떻게든 살아보려고 노력하는데, 강쇠는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온갖 못된 짓을 저지른다. 이에 옹녀는 강쇠를 달래 지리산으로 옮겨 살게 되었는데, 어느날 강쇠가 땔감으로 장승을 베어다 때어 장승 동티로 죽게 된다.

후반부는 이렇게 죽은 강쇠의 장례를 치르기 위해 시신을 치우는 과정이 복잡하게 전개된다. 결국 뎁득이가 강쇠의 상을 치르는 것으로 끝맺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등장하는 많은 인물, 특히 사당패·풍각쟁이패·초라니 등 유랑연예인의 등장과 그들의 놀이 모습은 조선 후기 하층민간생활의 일면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 작품은 단순히 음란한 성에 대한 경계에 그치는 것이라기보다, 하층유랑민의 비극적 생활상이 광대들의 자술적 전기와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19세기 농촌공동체의 경제적 분화과정에서 발생한 유민층이 농촌공동체를 지키고자 했던 집단에 의해 패배해간 사회적 현실이 잘 반영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