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경제

가경제

다른 표기 언어 Chiach'ing , 嘉慶帝 동의어 청나라 제7대 황제, 애신각라옹염, 愛新覺羅顒琰, 영염, 永琰, 수천흥운부화수유숭문경무광유효공근검단민영철예황제, 受天興運敷化綏猷崇文經武光裕孝恭勤儉端敏英哲睿皇帝
요약 테이블
출생 1760. 11. 13, 중국 베이징
사망 1820. 9. 2, 후베이 성[湖北省] 러허[熱河:지금의 청더(承德)]
국적 청(淸), 중국

요약 가경제는 백련교도의 난을 진압하고, 황실 경비를 줄이는 등 쇠퇴하고 있던 청제국을 부분적이나마 되살리려 노력했으나 조정의 무능함과 관리의 부패, 민심의 피폐로 무기력하게 실패하고 말았다.
1796년 아버지 건륭제의 양위로 황제에 올랐으나 즉위 초기에는 아버지와 부패한 관리 화신에게 실권이 있어 가경제는 의식행사를 이끄는 역할에 머물렀다. 중국 중부와 서부에서 발생한 백련교도의 난(1796~1804)을 5년 이상에 걸쳐 겨우 평정했다. 1799년 건륭제가 죽자 화신을 잡아들여 자살하도록 했다. 그는 황실재정을 복구하기 위해 애썼으나 강력한 통치자가 못되었던 까닭에 만연한 관리들의 부패를 없애기보다는 궁중의 경비를 줄이는 정책을 취했다. 이 정책으로 국가재정의 복구는 어느 정도 성공했으나 부패는 더욱 심해졌고, 백성들의 세금부담도 여전히 과중했다. 그는 청조의 가장 인기없는 황제로 삶을 마쳤다.

가경제(嘉慶帝)
가경제(嘉慶帝)

이름은 옹염. 시호는 예제. 묘호는 인종(仁宗). 백련교도의 난을 진압하고, 황실 경비를 줄이는 등 쇠퇴하고 있던 청제국을 부분적이나마 되살리려 노력했으나 조정의 무능함과 관리의 부패, 민심의 피폐로 무기력하게 실패하고 말았다.

1796년에 아버지 건륭제(乾隆帝:1735~96 재위)가 퇴위하자 즉위하여 가경이라는 연호를 썼다. 그러나 1799년까지는 아버지와 부패한 관리 화신이 권력을 계속 장악했고, 가경제 자신은 의식행사를 이끄는 정도의 일만을 했다. 그동안 중국 중부와 서부에서 백련교도의 난(1796~1804)이 일어났으며, 화신과 그 측근들이 군비를 횡령하려 한 탓에 반란진압이 늦어졌다.

1799년 건륭제가 죽자 가경제는 즉각 화신을 잡아들여 자살하도록 했으며, 난을 진압하기 위해 능력있는 장군들을 기용했다. 그러나 힘이 고갈된 청군이 난을 수습하는 데는 5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다. 또 남해안에는 해적들이 들끓기 시작하여 교역이 거의 끊어진 상태였으나 10여 년(1800~10)이 지난 뒤에 이들을 소탕할 수 있었다. 건륭제가 죽고 화신이 체포된 뒤에 가경제는 황실재정을 복구하기 위해 애썼다. 그러나 그는 강력한 통치자가 못되어서 만연한 관리들의 부패를 없애기보다는 궁중의 경비를 줄이는 정책을 취했다. 이런 조치는 황족들을 언짢게 했다. 이 정책은 국가재정을 복구하는 데는 어느 정도 성공했으나 조정이 갈수록 무력해지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정부수입을 더 늘리기 위해 높은 관직을 팔았던 것 때문에 실제로 부패는 더욱 심해졌다. 게다가 백성들의 세금부담은 여전히 과중한 상태였다.

1803년 폭도들이 길에서 가경제를 습격했으며, 1813년에는 한 무리의 음모자들이 궁전을 급습하려 했다. 그는 청조의 가장 인기없는 황제로 삶을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