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엽초

일엽초

다른 표기 언어 一葉草 동의어 와위, 瓦韋, 검단, 檢丹, 골패초, 骨牌草, 낙성초, 落星草
요약 테이블
분류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고란초과 > 일엽초속
서식지 산에 자라는 고목의 줄기나 바위 틈
학명 Lepisorus thunbergianus (Kaulf.) Ching
국내분포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중국, 인도차이나, 대만, 필리핀, 일본

목차

접기
  1. 개요
  2. 형태
  3. 생태
  4. 이용
  5. 해설
일엽초
일엽초

개요

남부지방의 숲 속 바위나 늙은 나무의 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겉에는 비늘조각이 덮여 있다. 잎은 가죽질,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포자낭군은 둥근 모양으로 잎 뒷면 위쪽에 가운데잎줄을 중심으로 양쪽에 한 줄로 나란히 달리며, 황색, 포막은 없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일엽초 종류 중에서 포장낭군이 가장 커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형태

뿌리줄기는 지름 3-4mm로 옆으로 뻗는다. 뿌리줄기의 겉을 덮은 비늘조각은 좁은 피침형으로 길이 3-4mm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돌기가 있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서 나오며 홑잎이며, 가죽질이고, 길이 10-30cm다. 잎몸은 선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 끝이 좁다. 잎 앞면은 짙은 녹색으로 작은 구멍처럼 보이는 점이 있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 잎줄이 뚜렷하다. 잎이 마르면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포자낭군은 둥근 모양으로 잎 뒷면 위쪽에 가운데잎줄을 중심으로 양쪽에 1줄씩 나란히 달리며, 황색, 포막은 없다.

생태

덥고 습한 남부지방의 숲 속에 자란다. 바위 겉과 늙은 나무의 나무껍질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 여러해살이풀이다.

이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해설

본 분류군은 잎이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며 그 형태가 균질한 특징을 가지고 있고 포자낭군이 비늘로 덮여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분류군의 속명인 Lepisorus는 비늘(lepi-)이 포자낭군(sorus)을 덮고 있다는 뜻이다.
본 분류군은 대기 중의 수은 오염도를 측정하는 생물 지표종(bioindicator)으로 활용될 수 있음이 최근 일본 연구진에 의해 보고되었다(Kono et al. 2009). 이 연구에 따르면 대기 중에 있는 수은의 양과 이 식물이 흡수한 농도가 서로 강한 상관관계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져서 잎이 커서 시료를 채취하기 쉬운 본 분류군이 수은 오염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동아시아지역의 공기 중에 수은의 농도는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도시나 공장 지역에는 그 농도가 높은데 이를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데 본 분류군이 이용될 수 있다.

참고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오상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