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암버섯

개암버섯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독청버섯과(STROPHARIACEAE) > 개암버섯속(Naematoloma)
서식지 활엽수의 넘어진 나무나 그루터기 또는 흙에 묻혀 있는 나무
학명 Naematoloma sublateritium
국내분포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방태산, 변산반도국립공원
발생시기 늦가을
이용 식용. 목재부후균.
군락형태 속생

균모의 지름은 3-8cm로 반구형 또는 둥근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고 다갈색 또는 진한 벽돌적색이며 가장자리는 백색이고 얇은 내피막의 인편이 붙어있다. 살은 황백색이다. 주름살은 황백색에서 올리브암색을 거쳐 자갈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5-10cm이고 굵기는 8-15mm로 상부는 황백색이고 하부는 녹슨갈색이며 섬유무늬를 나타낸다. 포자의 크기는 5-7×3.5-4.5㎛이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끝에 발아공이 있다. 포자문은 암자갈색이다. 우수한 식용균으로 인공재배도 한다. 늦가을에 활엽수의 넘어진 나무나 그루터기 또는 흙에 묻혀 있는 나무에 속생한다. 목재부후균이다. 분포는 한국의 모악산, 한라산 등 북반구 온대 이북에 자생한다.

개암버섯
개암버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