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가시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광대버섯과(Amanitaceae) > 광대버섯속(Amanita)
서식지 숲속의 땅
학명 Amanita virgineoides
국내분포 가야산,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두륜산, 방태산, 변산반도국립공원
발생시기 여름부터 가을까지
이용 식용(일부지방).
군락형태 단생

균모의 지름은 9-20cm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가장자리에 턱받이의 파편이 부착한다. 표면은 백색이고 미세한 가루가 분포하며 높이 3mm의 원추상 사마귀가 많이 붙어 있다. 살은 백색이고 마르면 고약한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백색 또는 크림색의 끝 붙은 주름살이다. 자루의 길이는 12-22cm이고 굵기는 1.5-2.5cm로 아래는 부풀고 백색이며 속은 비었고 표면은 솜털 같은 인편이 덮여 있으며 기부에 사마귀가 고리 모양으로 많이 부착한다. 턱받이는 크고 막질이며 윗면에 선이 있다. 포자의 크기는 8-10.5×6-7.5㎛이고 는 타원형이고 아미로이드 반응이다. 경기도 광릉에서는 식용한다. 발생은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숲속의 땅에 단생한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변산반도국립공원, 지리산, 만덕산, 오대산, 한라산, 속리산, 월출산 등과 일본 등에 분포한다.

흰가시광대버섯
흰가시광대버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