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릉

사릉

사적 제209호, 思陵

정순왕후의 능

홍유릉 인근에 있는 사릉은 비운의 왕인 제6대 단종의 비 정순왕후 송 씨(1440~1521)의 능이다. 사릉은 왕릉보다 문화재청이 관할하는 궁과, 능에 필요한 나무를 기르는 양묘 사업소 묘포장으로 유명하다. 과거에 일반인들에게 공개한 적이 있으나 방문객이 적어 비공개 왕릉으로 분리되었다가 2013년 1월 1일부터 태강릉의 강릉, 동구릉의 숭릉과 함께 공개하고 있다.

조선 왕릉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 당시 묘포장에 있는 종자 은행과 소나무 등 각종 유전자원이 궁궐과 능원의 생태 문화 자원 보존에 의미가 있다며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알려진다. 이곳에 있는 소나무 묘목은 태백산맥 능선에 있는 태조 이성계의 5대조 묘소인 준경묘와 영경묘의 낙락장송 후손으로, 숭례문 복원에 사용될 정도로 한국의 대표적인 소나무로 평가받고 있다. 1999년에는 사릉에서 재배된 묘목을 단종의 무덤인 영월 장릉에 옮겨 심어 단종과 정순왕후가 그간의 아쉬움을 풀고 애틋한 정을 나누도록 했다. 이때 사용된 소나무를 '정령송(精靈松)'이라 부르므로 사릉을 답사할 때 유심히 보기 바란다.

사릉 정자각
사릉 정자각

정순왕후의 처음은 남부러울 것이 없었다. 여량부원군 송현수의 딸로 세종 22년(1440)에 태어나 15세 때 한 살 어린 단종과 가례를 치러 왕비로 책봉되었다. 사실 이 결혼은 단종이 즉위한 지 만 1년이 되는 날 수양대군과 양녕대군이 자신들의 생각대로 왕비를 고른 후 단종에게 거의 반 강제로 왕비를 맞이할 것을 청한 것이다. 결혼한 이듬해인 1455년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자 정순왕후는 의덕왕대비가 되면서 역경의 시련이 몰아친다.

세조의 왕위 찬탈은 과거 세종, 문종의 총애를 받았던 집현전의 일부 학사 출신들에게 심한 저항을 받았다.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 등의 유신들은 무관인 유응부, 성승 등과 함께 세조를 제거하고 상왕을 복위할 것을 모의하고 있었다. 그들은 세조 1년(1455) 명의 책명사(冊命使)가 조선에 온다는 통보를 계기로 창덕궁에서 연회를 베풀 때 거사할 것을 계획했는데, 마침 이날 세조 제거의 행동책을 맡은 별운검각주1) 이 갑자기 폐해져 실행하지 못했다.

그러자 계획이 탄로되었음을 두려워한 김질이 장인 정창손에게 내용을 누설하고, 다시 정창손과 함께 세조에게 고변해 주동자인 사육신과 연루자 70여 명에게 그야말로 피바람이 몰아친다. 이들 모두가 처형되면서 단종 복위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고, 상왕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유배된 후 죽임을 당한다. 단종이 유배되자 정순왕후는 부인으로 강봉되고 나중에는 관비로까지 곤두박질친다.

이 당시 놀라운 기록은 신숙주가 정순왕후를 자신의 종으로 달라고 했다가 물의를 빚은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함부로 쳐다보지도 못하던 왕비이지만 관비가 되었으므로 신숙주의 요청이 법적으로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료들은 절개를 지키다가 처절하게 죽어 사육신이 된 상황에 왕비를 종으로 달라는 신숙주의 처신이 어처구니없지 않을 수 없다.

세조도 신숙주의 행동이 놀라웠는지 "신분은 노비지만 노비로서 사역할 수 없게 하라"라는 명을 내려 정업원으로 보냈다. 정업원은 조선 초기 슬하에 자식이 없는 후궁이나 결혼 후 남편을 잃고 혼자 살아야 했던 왕실의 여인들이 기거하던 곳이다.

정업원 바로 옆에는 비구니들이 있는 청룡사가 있는데 고려 말 공민왕의 비인 혜비가 망국의 슬픔을 안고 스님이 되어 머물던 곳이다. 태조 이성계의 딸 경순공주도 이곳에서 비구니로 살았고, 정순왕후 역시 이곳에서 스님으로 머물렀다는 설도 있다. 청룡사 안에는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재 제5호로 지정된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라는 비각이 있는데, 정순왕후를 애석하게 여겼던 영조가 직접 비와 현판각주2) 을 내렸다. 현판의 '눈물을 머금고 쓴다. 앞 봉우리와 뒷산 바위 천만년 가라(前峯後巖於千萬年)'는 글은 영조의 글씨다.

정순왕후는 정업원에서 시녀들과 함께 살면서 시녀들이 동냥해온 것으로 끼니를 잇기도 했다. 하지만 스스로 생계를 부담하기 위해 제용감에서 심부름하던 시녀의 염색 기술을 도와 자줏물을 들이는 염색업을 하며 어렵게 살았다. 당시에는 지치라는 식물의 뿌리를 이용해 비단에 물을 들였다.

정순왕후가 염색업을 하던 골짜기를 자줏골이라 불렀는데, 현재 한성대학교 후문 부근에 있으며 지봉 이수광 선생이 『지봉유설』을 저술한 초가삼간 비우당(庇雨堂)에 당시의 흔적이 있다. 정순왕후가 염색하던 곳을 자주동샘(紫芝洞泉)이라고 하는데 정순왕후가 이곳에 와서 단종이 억울하게 죽은 영월 쪽을 향해 명복을 빌며 비단 빨래를 하면 저절로 자주색 물감이 들었다고 한다. 비우당 옆에는 원각사가 있는데 단종의 넋을 천도하는 도량이다.

정순왕후가 염색하던 자주동샘과 비우당 옛터
정순왕후가 염색하던 자주동샘과 비우당 옛터

세조는 말년에 정순왕후의 실상을 알고 궁핍을 면할 수 있는 집과 식량을 주겠다고 했지만 정순왕후가 그것을 고이 받을 여인은 아니었다. 아무리 생활하기 어렵다고 한들 왕후로서의 자존감을 꺾고 죽은 남편의 억울함과 열여덟에 홀로된 자신의 한을 지울 수는 없는 일이었다.

한편, 그녀를 가엾게 여긴 동네 아녀자들은 조정의 눈을 피해 먹을거리를 건네주고자 감시병 몰래 금남의 채소 시장을 열어 정순왕후를 돌봤다. 신설동 동묘의 벼룩시장을 끼고 나오면 도로 한쪽에 숭신초등학교가 보이는데 이곳이 조선 시대에 여인들만 출입한 여인 시장이 있던 곳이다.

채소 시장 옆에 있는 영도교는 귀양 가는 단종과 정순왕후가 마지막으로 헤어진 곳이다. 당시 청계천에 놓인 다리 가운데 가장 동쪽에 있던 다리로 정순왕후로서는 자신이 나갈 수 있는 최대한의 거리까지 귀양 가는 낭군을 배웅한 셈이다. 두 사람은 이후 이승에서는 만날 수 없었다. 단종이 끝내 유배지인 영월에서 생을 마감했기 때문이다. 영도교를 건너면 더 이상 사랑하는 임을 볼 수 없다는 말이 전해져 사람들은 '영원히 이별하는 다리'라는 뜻의 '영이별교'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4년간의 짧고 애틋한 결혼 생활을 한 두 사람 사이에는 후손도 없다. 정순왕후는 단종이 사사된 후 64년 동안 그를 기리다 82세로 정업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자신을 왕비로 간택했다 결국엔 폐비로 만들고, 남편에게 사약을 내린 시숙부 세조보다 53년을 더 살았다. 또 세조의 후손이며 시사촌인 덕종과 예종, 시조카 성종, 시손 연산군의 죽음까지 지켜보면서 한 많은 생을 마감했다.

조선 시대 모든 능역에는 사가의 무덤을 두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유일하게 사릉에는 사가의 무덤이 몇 기 남아 있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중종은 정순왕후가 사망하자 단종 때부터 7대의 왕을 거친 그녀를 대군부인의 예로 장례를 치르게 했다. 돌아갈 당시 왕후의 신분이 아니었기 때문에 국장을 치렀다. 능을 조성할 처지가 아니므로 단종의 누이 경혜공주가 출가한 집안에서 장례를 주도했다. 해주 정씨 가족 묘역 안에 정순왕후를 안장하고 제사를 지내 아직도 사가의 무덤이 남아 있는 것이다.

1698년 숙종에 의해 노산군이 단종대왕으로 복위되자 송 씨도 정순왕후로 복위되었으며, 신위는 창경궁에 모셔져 있다가 종묘의 영녕전에 안치되었다. '평생 단종을 생각하며 밤낮으로 공경함이 바르다'는 뜻으로 능호를 사릉이라 붙였다.

여타 왕릉처럼 홍살문이 있고 참도를 통해 정려각으로 들어가는데, 이곳의 참도는 정려각까지 이어지지 않고 중간에 중단되어 있다. 정자각은 맞배지붕으로 배위청이 짧아서 전체 건물의 모습이 정(丁)자형보다 정사각형이라는 느낌을 준다.

정자각 왼편 뒤에 있는 예감은 특이하게 조각된 뚜껑이 특징인데 원래 예감의 뚜껑은 나무로 만들었지만 이곳은 석재로 만들어 현재까지 전해진다.

사릉은 대군부인 예로 장사 지낸 뒤 왕후 능으로 추봉되었으므로 다른 능에 비해 단출하게 꾸며져 있다. 능원의 좌향은 북북동에서 남남서 방향을 바라보는 계좌정향(癸坐丁向) 형태다. 능침을 3면 곡장이 둘러싸고 있으나 병풍석과 난간석은 설치하지 않았으며 봉분 앞에 석상 1좌, 석상 양측에 망주석 1쌍을 세웠다. 봉분 주위에는 석양, 석호 각 1쌍이 배치되어 있다. 아랫단에는 문인석, 석마 각 1쌍과 장명등이 있다. 장명등은 숙종 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장릉(단종)에 있는 장명등과 더불어 조선 시대 최초의 사각 장명등으로 평가된다.

조선 왕릉의 능침은 기본적으로 도래솔각주3) 이 둘러싸고 있는데 사신사의 현무를 나타낸다. 현무는 소나무의 수피가 오래되면 검은색으로 변하고 두껍게 갈라져 거북 등 같은 모습이 되는 것에서 연유한다. 지금도 봉분을 중심으로 한 능침 공간에는 소나무가 절대적 우세를 나타내며 잘 보존되고 있다. 이 소나무들이 단종의 능인 장릉 쪽을 향해 고개 숙여 자란다는 전설이 전해지기도 한다.

참고문헌

  • ・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 여행의 길잡이 동해·설악』(돌베개, 2004).
  • ・ 이창환, 「[王을 만나다·35] 사릉(6대 단종의 정비 정순왕후)」, 『경인일보』, 2010년 5월 26일.
  • ・ 이창환, 「남편과 생이별 통곡 소나무는 알고 있을까?」, 『주간동아』 제736호, 2010년 5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