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탕자

렘브란트 판 레인

돌아온 탕자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용서와 관용의 시간

요약 테이블
크기 264.2x205.1cm
제작시기 1668~1669년
원제 Terugkeer van de Verloren Zoon
작가 렘브란트 판 레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네덜란드, 1606~1669년
소장/전승 상트페테르부르크 에르미타슈미술관
기법 유화, 캔버스에 유채

성서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삼고 있는 <돌아온 탕자>는 렘브란트가 가장 마지막으로 그린 역사화로 알려져 있다. 재산을 탕진하고 돌아온 아들의 처참한 심경과 아들을 나무라지 않고 오히려 따뜻하게 맞아주는 아버지의 모습이 포착된 이 작품을 통해 감상자는 용서와 관용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Terugkeer van de Verloren Zoon
Terugkeer van de Verloren Zoon

렘브란트는 자신이 그린 수없이 많은 초상화와 역사화 안에 특정한 사건 또는 행동을 담으려고 애썼다. 이렇게 구성된 이야기는 화가의 머릿속과 그림 안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감상자가 그림을 감상하는 순간까지 이어지는 듯한 인상을 준다. 특히 렘브란트는 선과 색, 음영을 통해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내면을 드러내려고 했다. 이와 같은 맥락 아래 그려진 렘브란트의 역사화 중 가장 마지막 작품이 <돌아온 탕자>이다.

<돌아온 탕자>는 누가복음 15장에 등장하는 에피소드를 소재로 삼았다. 성서에 따르면 한 아들이 아버지에게 자신의 몫의 재산을 미리 달라고 요청했고, 그 재산을 모두 탕진하고 난 다음 집으로 돌아와 용서를 구한다. 그새 늙어버린 아버지는 그런 아들을 나무라는 대신 좋은 옷과 신발, 가락지를 끼워주라 말하며 잃어버렸던 아들을 다시 찾은 것을 축하하기 위해 살찐 송아지를 잡아 잔치를 벌인다.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는 집으로 다시 돌아온 아들이 아버지에게 무릎을 꿇고 있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렘브란트는 이 그림에서 돌아온 아들의 시선과 감상자의 시선을 일치시킨다. 감상자가 초라한 모습의 아들을 자애로운 눈빛과 손길로 맞아주는 아버지를 아들의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배치한 것이다. 누더기 옷과 다 해진 신발을 신고 늙은 아버지의 품에 안긴 아들의 얼굴을 정확히 볼 수는 없지만 뒷모습만으로도 그가 깊은 회한에 잠겼음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시커먼 발바닥을 드러낸 채 무릎을 꿇고 있는 아들의 모습은 오갈 데 없는 그의 처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그림 속 아버지가 두르고 있는 붉은 망토는 관용과 용서를 상징한다. 이에 반해 돌아온 탕자를 어둠 속에서 지켜보고 있는 이들의 시선은 냉정하다. 오른 편에 서 있는 이는 탕자의 형으로 탕자를 바라보는 아버지의 눈빛이나 제스처와 상반된 모양을 하고 있다. 탕자의 형의 뒤편으로 보이는 한 구경꾼은 가슴을 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여성으로 추정되는 다른 구경꾼은 관망하는 표정을 짓고 있다.

<돌아온 탕자>가 제작된 정확한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쟁 중이다. 또한 미완성으로 남아있던 이 작품을 렘브란트의 제자가 완성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있었지만, 그림의 주제나 표현양식에 있어 렘브란트의 대표작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참고문헌

  • ・ Bockemühl, M.(2006). Rembrandt. 김병화 역(2006). 서울: 마로니에북스.
  • ・ D’Adda, R. & Arpino, G.(2004). Rembrandt. 이종인 역(2008). 렘브란트. 서울: 예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