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장치료

혈장치료

다른 표기 언어 plasma treatment , 血漿治療

요약 특정 바이러스나 질병에 감염되었다가 완치된 환자의 혈장을 이용한 치료법. 해당 환자의 혈장 안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해당 환자의 혈장을 다른 환자에게 투여할 경우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켜 바이러스의 퇴치와 독성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치료법을 혈장치료라고 한다.

목차

접기
  1. 개요
  2. 혈장
  3. 혈장치료

개요

바이러스와 같은 특정 물질에 대한 항체가 들어있는 혈장을 이용한 치료법. 혈장은 혈액을 이루는 액체 성분을 말한다. 혈장은 약 90%가 물이며 7%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의 물은 세포 안팎의 물과 자유롭게 교환되며 생명체의 존재에 필수적인 요소로, 혈장을 통해 영양분이 이동하며 혈장단백질 속에 면역글로불린 등 항체를 수송하는 물질이 들어 있다. 혈장치료는 완치되어 혈장단백질에 항체가 생긴 환자의 혈장을 다른 환자에게 투여하는 치료법이다.

혈장

혈장은 혈액을 이루는 액체 성분을 말한다. 혈장은 약 90%가 물이며 7%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혈장의 물은 세포 안팎의 물과 자유롭게 교환되며 생명체의 존재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음식물로 섭취된 단백질은 장에서 분해되어 아미노산으로 흡수된 후 혈장을 통해 인체의 각 부분으로 이동해 세포로 유입되어 단백질로 합성된다.

세포에서 합성된 혈장단백질은 다시 혈액 속으로 분비되는데 많은 종류의 혈장단백질은 간에서 생성된다. 혈장단백질 중 가장 중요한 알부민은 혈액의 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한다. 알부민이 고갈되면 혈액 속의 물이 유실되어 조직이 팽창하는 부종이 생긴다. 혈장단백질에는 항체인 면역글로불린과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그 물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수송단백질이 있다.

면역글로불린 속에 형성되는 항체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항원에 대항하고 이를 비활성화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항원의 독성을 제거하여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성된 항체는 혈액이나 림프에 저장되어 있다가 항원이 침투하면 방어 반응을 일으켜 독성을 제압한다. 이렇게 항원에 항체가 결합하여 면역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항원-항체 반응이라고 한다.

혈장치료

혈장치료는 혈장단백질 중 면역기능에 관여하는 면역글로불린(항체)과 다른 물질과 결합하여 그 물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수송단백질을 이용한 치료법이다. 사스,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를 유발하는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완치된 환자의 혈장 내에는 해당 바이러스를 항원으로 하는 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혈장을 다른 환자의 혈액에 투여하여 바이러스의 퇴치 또는 독성을 제거하도록 하는 치료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