훠궈

훠궈

다른 표기 언어 hot pot

요약 샤브샤브의 원형인 중국의 국물 요리. 3세기 중국 삼국시대 제갈량의 솥 요리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13세기 몽골 칭기스칸이 야전에서 투구를 벗어 물을 끓여서 현지에서 조달한 재료를 익혀 먹은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충칭식 훠궈는 태극 모양으로 칸이 나뉘어져 있으며, 한쪽엔 매콤한 홍탕, 한쪽엔 담백한 백탕을 끓이고 고기, 해물, 채소, 버섯 등을 익혀 먹는다.

목차

접기
  1. 유래
  2. 종류
  3. 조리법
훠궈(hot pot)
훠궈(hot pot)

유래

샤브샤브의 원형이 되는 중국 요리. '훠궈'라는 이름은 끓이는 그릇을 뜻한다. 서양이나 홍콩에서는 핫팟(hot pot)이라고도 한다. 훠궈의 유래에는 크게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한다. 하나는 3세기 위, 촉, 오나라가 대립하던 삼국시대에 촉한의 제갈량(諸葛亮)이 당시 군대의 조리도구였던 큰 솥에 다섯 칸으로 나뉘어진 칸막이를 넣고, 다섯 가지의 다른 식재료를 끓여서 군사들을 먹였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태극 모양으로 나뉘어진 그릇의 유래인 듯하다. 정작 홍탕의 재료인 고추는 명나라 말 청나라 초에 중국에 전래되었다.

다른 하나는 13세기 몽골의 칭기즈칸이 기마병을 이끌고 대륙을 평정하던 시대에, 이동 간에 식사를 위하여 주둔지에서 투구를 뒤집어 물을 끓인 후, 갖고 다니던 마른 양고기를 끓이거나 현지에서 조달한 식재료를 끓는 국물에 익혀서 먹던 풍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주로 양고기를 끓이거나 데쳐서 먹는 데에서 연유한 유래담인 듯하다. 이 음식 스타일이 일본에 전해져서 '살짝살짝'이라는 의미의 샤브샤브로 개량되었다.

종류

훠궈의 맛과 재료는 지방의 특성과 산물에 따라 다르다. 쓰촨(四川)식 훠궈는 매운 맛을 강하게 내는 향료인 화자오(花椒)를 넣어 매운 맛이 강하다. 광둥(廣東)식 훠궈에는 북방 지역과 달리 바다에 인접한 지역적 특성을 살려 해산물을 많이 넣는다. 윈난(雲南)식 훠궈 가운데에는 버섯을 주 재료로 하는 경우도 있다. 내륙일수록 양고기 등 육류가 많이 사용되고, 바닷가에서는 해산물이 풍부하게 들어간다. 중국에서는 쓰촨의 동쪽 지역인 충칭(重慶)식 훠궈가 가장 대표적인 훠궈로 알려져 있다.

조리법

충칭식 훠궈는 태극 모양으로 둘로 나뉜 남비의 한 쪽에는 맵고 얼얼한 고추가 들어간 홍탕을 넣고, 다른 한 쪽에는 닭이나 잉어를 삶아 담백하게 끓인 백탕을 넣는다. 양고기, 쇠고기 등의 육류, 민물고기, 해삼, 오징어 등 해물, 무, 배추, 청경채 등의 채소와 버섯, 두부, 유부, 만두, 오리피, 돼지피, 면류 등을 끓는 국물에 넣어 익혀 먹는다. 훠궈의 맛은 다양한 소스에 달려있다고도 하는데, 소스로 깨를 갈아 만든 지마장(芝麻醬), 여러 해산물을 우러낸 간장인 해선장(海鮮醬), 땅콩으로 만든 화생장(花生酱), 참기름, 고추기름, 간장, 식초, 다진 마늘 등을 취향대로 섞어서 찍어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