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강나무

생강나무

다른 표기 언어 Japanese Spice Bush , 生薑木 , ダンコウバイ壇香梅
요약 테이블
분류 녹나무과
학명 Lindera obtusiloba

온통 잿빛의 삭막한 겨울 숲도 들판에 완연한 봄이 찾아오면 긴 겨우살이를 털고 새봄을 맞을 준비를 한다. 인간 세계에 선각자가 있듯이 나무나라에도 봄이 오고 있음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생강나무라는 초능력 나무가 있다. 예민한 ‘온도감지 센서’를 꽃눈에 갖추고 있어서다. 생강나무는 숲속의 다른 나무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날 꿈도 안 꾸는 이른 봄, 가장 먼저 샛노란 꽃을 피워 새봄이 왔음을 알려준다.

숲속에서 자연 상태로 자라는 나무 중에 제일 먼저 꽃망울을 터뜨리는 나무가 바로 생강나무다. 가느다란 잿빛 나뭇가지에 조그마한 꽃들이 금가루를 뿌려놓은 듯 점점이 박혀 있는 화사한 꽃 모양은 ‘봄의 전령’이라는 그의 품위 유지에 부족함이 없다.

생강나무는 지름이 한 뼘에 이를 정도로 제법 큰 나무로 자라기도 하지만, 우리가 산에서 흔히 만나는 나무는 팔목 굵기에 사람 키를 약간 넘기는 정도의 자그마한 것이 대부분이다. 인가 근처의 야산에서는 2월 말쯤에, 좀 깊은 산에서는 3~4월에 걸쳐 꽃을 피운다. 한번 피기 시작한 꽃은 거의 한 달에 걸쳐 피어 있으므로 나중에는 진달래와 섞여 숲의 봄날을 달구는 데 한몫을 한다.

꽃이 지고 돋아나는 연한 새싹은 또 다른 귀한 쓰임새가 있다. 차나무가 자라지 않는 추운 지방에서는 차 대용으로 사랑을 받았다. 차(茶)문화가 사치스런 일반 백성들은 향긋한 생강냄새가 일품인 산나물로서 즐겨왔다. 이후 생강나무는 주위 동료나무들과 어울려 ‘초록은 동색’이 된다.

까맣게 잊어버린 생강나무는 가을 단풍철이 오면서 다시 한 번 우리의 눈길을 끈다. 봄의 노란 꽃 영광이 아쉬운 듯, 셋으로 갈라진 커다란 잎은 노란 단풍으로 물든다. 생강나무의 한해살이는 노란 꽃으로 생명을 시작하여 노란 단풍으로 마감한다.

가을이 깊어 갈수록 콩알 굵기만 한 새까만 열매가 눈에 띈다. 처음에는 초록빛이었다가 점차 노랑, 분홍을 거쳐 나중에는 검은빛으로 익는다. 이 열매에서 기름을 짠다. 이 기름으로 옛날 멋쟁이 여인들은 머릿결을 다듬었으며, 아울러 밤을 밝히는 등잔불의 기름으로도 사용하였다. 남쪽에서 만나는 진짜 동백기름은 양반네 귀부인들의 전유물이었고, 서민의 아낙들은 주위에서 흔히 자라는 생강나무 기름을 애용했다. 그래서 머릿기름의 대명사인 ‘동백기름’을 짤 수 있는 나무라 하여, 강원도 지방에서는 아예 동백나무(동박나무)라고도 한다. 춘천 태생의 개화기 소설가 김유정의 단편 〈동백꽃〉은 사실 생강나무 꽃이 맞다.

생강나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조미료로 쓰는 생강과 관련이 깊다. 나뭇잎을 비비거나 가지를 꺾으면 은은한 생강냄새가 난다. 식물이 향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정유(精油)라고 하여 여러 가지 화합물을 가지고 있는 성분 때문이다. 생강나무는 잎에 정유가 가장 많고 다음이 어린 줄기이며, 꽃에는 정유가 거의 없다. 생강과 생강나무의 정유 성분을 보다 세밀히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둘 다 β-유데스몰(β-eudesmol)과 펠란드렌(phellandrene)이라는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쨌든 이들 때문에 우리는 생강나무에서 생강냄새를 맡을 수 있다. 옛사람들은 음식물을 잠시 저장할 때 개미나 파리가 모여드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생강나무의 어린 가지 껍질을 벗겨서 걸어 놓았다고 한다. 실제로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었는지 흥미롭다.

그 외에 생강나무는 민간약으로 쓰이기도 한다. 산후조리, 배 아플 때, 가래를 없애는 데에도 가지를 달여 마시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호사설(星胡僿說)》각주1) 〈만물문〉 편에 보면 “속칭 아해화(鵝孩花)라는 것이 있어, 누른 꽃은 거위 새끼의 털처럼 보들보들하고, 향기는 생강냄새와 흡사한데, 봄철이 오면 다른 꽃보다 제일 먼저 핀다. 양나라 원제가 말한 아아화(鵝兒花)와 같은 꽃이다”라고 나와 있다. 이는 생강나무와 관련된 유일한 옛 기록이다.

산속의 생강나무보다 조금 앞서서, 마을 부근의 빈터나 밭둑에는 얼핏 보아 생강나무 꽃과 너무 닮은 노란 꽃을 피우는 또 다른 봄 나무가 있다. 바로 산수유다. 잎이 피고 나면 두 나무의 차이는 너무도 뚜렷하지만, 꽃만 보아서는 조금 혼란스럽다. 꽃이 피어 있을 때 구별하는 방법은 이렇다. 두 나무 모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산수유는 꽃대가 길고 꽃잎과 꽃받침이 합쳐진 화피(花被)가 여섯 장이며, 생강나무는 꽃대가 거의 없다고 해도 될 만큼 짧고 꽃잎도 네 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