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가

오우가

다른 표기 언어 五友歌
요약 테이블
시대 조선
저작자 윤선도
창작/발표시기 1642년(인조 20)
성격 시조
유형 작품
분야 문학/고전시가

요약 1642년(인조 20)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내용

1642년(인조 20) 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시조. 작자가 은거지인 금쇄동(金鎖洞)에서 지은 <산중신곡 山中新曲> 18수 중 6수로, ≪고산유고 孤山遺稿≫ 제6권 하편 별집에 수록되어 있다.

이 작품은 서사(序詞)인 첫 수에서 수(水)·석(石)·송(松)·죽(竹)·월(月)의 다섯 벗을 말하고, 각각의 벗에 대하여 다시 한수씩 노래하였다.

둘째 수는 “구룸 빗치 조타나 검기 다/람소 나 그칠 적이 하노매라/조코도 그츨 뉘 업기 믈 뿐인가 노라.”라 하여 그칠 줄 모르는 물의 부단(不斷)함을 노래하였다.

셋째 수에서는 “고즌 므스 일로 퓌며셔 쉬이 디고/플은 어이야 프르 누르니/아마도 변티 아닐 바회 뿐인가 노라.”라 하여 바위의 불변(不變)함을, 넷째 수에서는 “더우면 곳 퓌고 치우면 닙 디거/솔아 너 얻디 눈서리다/구쳔(九泉)의 블희 고 줄을 글로 야 아노라.”라 하여 눈서리를 모르는 솔의 불굴(不屈)을, 다섯째 수에서는 “나모도 아닌 거시 플도 아닌 것시/곳기 뉘 시기며 속은 어이 뷔연다/뎌러코 시(四時)예 프르니 그를 됴하 노라.”라 하여 속이 빈 대나무의 불욕(不欲)을, 여섯째 수에서는 “쟈근 거시 노피 떠셔 만믈(萬物)을 다 비취니/밤듕의 광명(光明)이 너만니 또 잇냐/보고도 말 아니니 내 벋인가 노라.”라 하여 달의 불언(不言)을 노래하였다.

작자는 물·돌·솔·대·달을 보며 부단·불변·불굴·불욕·불언 등의 규범을 노래한 것이다. 좌절을 안겨준 현실에 무상함을 느끼면서 변하지 않는 자연의 다섯 벗을 찬양하였다.

참고문헌

・ 「강호가도연구(江湖歌道硏究)」(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