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관

요관

[ ureter , 尿管 ]

요약 콩팥의 콩팥깔때기(신우)에 모아진 소변을 방광까지 운반해주는 가늘고 긴 관
계통 비뇨기계

정의

콩팥에서 생성된 소변이 콩팥깔때기를 거쳐 내려오면 소변을 방광까지 전달해주는 가늘고 기다란 관이다. 사람의 요관에는 근육이 있어 연동운동으로 소변을 콩팥에서 방광까지 이동시킨다.

위치

콩팥의 안쪽에 위치하는 콩팥깔때기에서 연결되는 요관은 두덩뼈(치골) 상부에 위치하는 방광까지 연결된다. 큰 혈관대동맥, 대정맥과 평행하게 주행하다가 골반 근처에서 엉덩혈관(장골혈관)의 위를 교차하면서 골반안(골반강)에 위치하는 방광 뒤를 돌아 방광에 비스듬하게 연결된다.

요관의 위치

요관의 위치

형태 및 구조

콩팥깔때기에서 연결되는 길쭉한 관으로 성인에서 길이는 25~30cm 정도이며 직경은 3~4mm 정도이다. 대혈관대동맥, 대정맥과 평행하게 주행하다가 골반 근처에서 엉덩혈관의 위를 교차하면서 골반안에 위치하는 방광 뒤를 돌아 방광에 비스듬하게 연결된다. 요관은 위로는 요관신우 경계부를 기준으로 콩팥깔때기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방광요관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방광벽에 긴 터널을 형성하면서 방광에 연결된다. 방광과 연결되는 부위에 요관방광판막이 있어 역류를 방지한다. 방광 배뇨근이 수축하면 배뇨근에 싸여있는 요관이 눌려져 소변이 요관으로 역류하지 못하게 된다. 상피세포는 콩팥깔때기와 동일하게 이행상피세포이며 민무늬근육(평활근)인 내종근과 외환상근이 하부에 위치하여 연동운동을 일으킨다. 요관과 콩팥깔때기의 경계부와 요관과 방광의 경계부가 좁아서 결석이 잘 생기는 부위가 된다.

기능

요관은 특별한 기능을 하기보다는 콩팥에서 생성된 소변이 콩팥깔때기를 거쳐 내려오면 이를 방광까지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인체에서 요관은 근육이 있는 통으로써 연동운동으로 소변을 콩팥에서 방광까지 이동시킨다.

관련 질병

요관 결석, 요관 폐색, 이중 요관, 방광요관 역류, 요관신우 경계부 협착, 요관류, 요관암 등

관련 검사

요검사, 단순촬영, 배설성 요로조영술, 역행성 신우조영술, 선행성 신우조영술, 신장 초음파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요관경검사, 배뇨성 방광촬영술, 핵의학적 검사 등

동의어

수뇨관(輸尿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