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 치료

충치 치료

[ cavity filling ]

요약 치아 우식증(충치)으로 인해 치아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여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치료
진료과 치과
관련 신체기관 치아

정의

충치 치료는 치아 우식증(충치)으로 인해 치아 경조직의 손상이 있을 경우 치과용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여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시술이다. 치아 경조직의 수복을(우식으로 손상된 치아를 회복) 위해서는 적절한 와동 형성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 때문에 충치 치료할 때 치아의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다. 와동 형성이란 치아의 손상을 형태, 기능, 심미적으로 적절히 수복할 수 있도록 치아를 기계적으로 변형하는 작업을 말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구멍을 와동이라고 한다. 와동 형성 과정에는 손상 받은 치아의 구조나 우식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기존 수복물을 삭제하는 행위가 포함된다. 치아 경조직의 와동 형성은 치과용 핸드피스(dental handpiece)라고 하는 회전형 및 수동 절삭 기구를 이용하여 시행한다. 수복물이 치아 내에 오래 버티기 위한 요구 조건으로 와동 형성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치아 우식증과 결함 있는 수복물을 모두 제거한다.
2) 경계 부위는 치질의 보존과 유지관계가 가능한 곳에 위치시킨다.
3) 치아 내 신경을 보호하고 새로운 수복물이 탈락되지 않고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레진을 이용한 인레이 치료 전과 후

레진을 이용한 인레이 치료 전과 후

준비사항

우식이 깊은 경우 마취를 하게 되고 재료의 경화 시간 동안 바로 식사를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가능한 식사를 한 후에 내원하는 것이 좋다.

시술방법

1) 아말감(amalgam) 충전
아말감 합금의 성분은 은 65%, 주석 29%, 구리 6%, 아연 2%, 수은 3%로 이루어져 있다. 아말감은 1회 치료가 가능하고 조작이 간편하고 접착제가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으나, 인장강도(재료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의 변형력)가 낮고(즉 아말감 자체를 사방에서 받쳐주지 않으면 재료 자체가 무너질 수 있음), 경계 주위가 떨어져 나갈 수가 있으며, 색조가 치아색과 같지 않고, 다른 금속이 부딪힐 경우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 굳는 시간이 24시간으로 매우 길다.

* 치료 순서
① 충치가 깊은 경우 마취하고 방습을 위해서 러버댐(rubber dam, 시술하는 치아만 격리하는 고무풍선 같은 장치)을 한다.
② 와동을 형성한다.
③ 충치가 깊은 경우 치아의 신경을 보호하는 약제를 도포한다.
④ 아말감을 와동 내에 넣고 다진다.
⑤ 맞물리는 면을 교합하는 대합치아와 맞게 조각한다.
⑥ 경화 후에 표면을 매끄럽게 다듬는다.

2) 레진(resin) 수복
레진의 성분은 레진 기질, 무기 충전제, 연결재가 있다.

* 치료 순서
① 충치가 깊은 경우 마취하고 방습을 위해서 러버댐을 한다.
② 와동을 형성한다.
③ 충치가 깊은 경우 치아의 신경을 보호하는 약제를 도포한다.
④ 접착 표면에 산(acid)으로 부식 처리한다. 30~50% 인산 용액을 사용하며, 산 부식 표면은 백묵처럼 뿌옇고 푸석하게 보인다. 침에 오염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산부식 처리는 레진과 치아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화학적인 처리이다. 현미경적으로 보면 산주식이 된 치아면은 울퉁불퉁한 주름과 치면이 형성되어 부착력이 높아진다.
⑤ 프라이머(primer, 접착제의 힘을 높여주는 약제)와 접착제를 바른다.
⑥ 복합 레진으로 충전하고 다진다.
⑦ 광(光) 조사를 한다. 물렁한 레진이 딱딱하게 굳게 된다.
⑧ 즉시 딱딱해지므로 바로 연마할 수 있다.

3)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glass ionomer cement) 수복
주로 치경부(치아와 잇몸이 연결된 부분) 마모증에 사용하고 레진과 달리 산 부식 처리가 필요 없는 화학 접착이다. 심미성이 높고 치수(치아 속질) 자극이 적으며, 불소가 유리되어 항우식(재료 자체에 불소 등이 포함되어 있어 2차 우식을 막는 성분이 있음) 효과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경화가 늦으며 수분에 취약하고, 강도가 낮다는 약점이 있다.

* 치료 순서
① 와동을 형성한다.
② 불소를 함유하지 않은 세마제로 치아를 닦는다.
③ 충전 면의 전처리 후 세척 및 건조시킨다.
④ 재료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혼합하여 와동을 충전한다.
⑤ 초기 경화가 되면 수분의 오염을 막기 위해 전용의 바니시(varnish, 침 등으로부터 치수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지 용액. 바로 아말감 금속과 접촉하는 경우 시릴 수 있어서 충치가 깊은 경우 매니큐어와 비슷한 약을 표면에 발라준 후 아말감 충전을 하게 됨)를 도포한다.
⑥ 완전 경화가 24시간 후에 이루어지므로 24시간 후 연마한다.

4) 인레이(inlay)
금이나 은, 레진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인레이는 치과 충전제를 기공소에서 제작하여 치과용 시멘트로 부착시키는 술식이다. 다른 치료법과 달리 2번의 내원이 필요하다.

* 치료 순서(2회 내원 필요)
- 1차 내원 시
① 충치가 깊은 경우 마취하고 와동 형성한다.
② 치아 모형을 뜨고, 원래 치아가 물리는 상태를 왁스에 기록하여 석고 모형을 제작한다.
③ 기공소에 보내 기공 작업한다. 주조법에 의해 금 인레이 덩어리를 제작한다.

- 2차 내원 시
④ 임시 충전물을 제거하고 치아에 맞춰 본다.
⑤ 치과용 시멘트로 붙인다.
⑥ 남은 시멘트를 제거하고 맞물림을 체크한다.

소요시간

1) 아말감 수복: 치아당 10~20분
2) 레진, 글래스 아이노머 수복: 치아당 20~30분
3) 인레이(2회 내원 필요): 1차 내원 시 20~30분, 2차 내원 시 10~20분

주의사항

1) 아말감 수복: 24시간 후 완전 경화되므로, 치료 후 만 하루 동안 치료한 쪽으로는 씹지 않는다.

2) 인레이:1회 내원하여 임시 충전물을 충전한 상태에서 끈적한 음식물로 인해 임시 충전물이 탈락할 수 있으므로 치료한 쪽으로는 씹지 않는다.

3) 레진 및 글래스 아이노머: 치료 중에 완전 경화하므로 특별한 주의 사항은 없으나 재료의 변색이 올 수 있어서 변색을 줄이기 위해서는 카레, 커피 등의 유색소 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경과/합병증

충전 후 우식으로 손상된 치아의 형태 및 기능이 회복된다. 충치 치료 중 우식 부위만을 제거하여 치과용 재료를 넣으면 바로 탈락하기 때문에 충전재가 빠지지 않도록 치아 와동을 변형시켜주어 유지력 확보를 하거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건강한 치질도 삭제가 되므로 일시적인 지각 과민이 있을 수 있다.

부작용/후유증

충치 치료 후 자극성 음식물에 의해 지각 과민이 있을 수 있으나,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저작이 불가능한 경우는 비가역적인 치수염 상태일 수 있으므로 신경 치료가 필요하다.

1) 아말감

- 변연(경계 주위) 강도가 약해 테두리 부위가 부러질 수 있다.
- 다른 금속이 접촉될 때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다.
- 일시적인 지각 과민이 생길 수 있다.

2) 레진

- 중합 수축(레진 재료물성의 특징 중 굳어지면서 수축하는데, 수축하면서 치아를 잡아당기는 힘이 작용해 치아의 통증을 유발함)으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 변색이 올 수 있다.
- 지각 과민이 생길 수 있다.

3) 인레이

- 유지력이 약할 때 탈락될 수 있다.
- 지각 과민이 생길 수 있다.

치료질병

치아 우식증(충치), 법랑질 형성 부전

생활가이드

일 년에 한 번 정도 치과 정기 검진을 통해 충전물의 이상 유무 및 2차 우식의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 치료 직후에는 자극성이 강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인레이한 치아는 엿과 같이 끈적끈적한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

관련치료법

신경 치료, 크라운 수복, 포세린 수복

동의어

충치 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