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 장애

음성 장애

[ voice disorder ]

요약 목소리에 이상이 나타나는 상태
진료과 이비인후과
관련 신체기관 성대
관련 질병 후두염, 후두암, 인후두역류, 편도염, 후두덮개염, 성대 결절, 성대 낭종, 성대 마비, 긴장성 발성 장애, 기능성 발성 장애

정의

음성 장애는 음성을 만들어내는 후두 및 성대의 구조나 기능, 그리고 신경지배의 이상 때문에 목소리(음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음성 장애의 원인에는 크게 기질적 장애와 기능적 장애가 있다.

원인

음성 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은 음성의 오남용이다. 기질적 장애에 의한 경우는 위식도역류를 비롯한 외상, 이물, 염증, 종양, 신경마비, 기형 등이 원인이 된다. 반대로 기능적 장애의 경우는 정신적 스트레스 등이 원인이 되어 후두근육의 긴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로, 히스테리성 발성장애, 경련성 발성장애, 음성 쇠약증, 심리적 정서적 발성장애 등이 있다.

증상

쉰 목소리가 나오며, 목이 쉽게 잠기거나, 약한 목소리 및 의도하지 않은 목소리 떨림 등이 증상이 될 수 있습니다.

진단/검사

발성 중 성대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후두 스트로보스코프 검사가 진단에 가장 기본이 된다. 이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성대를 관찰하면서 성대 점막의 파동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음성 검사란 발성 과정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는 검사이다. 성대의 진동 상태를 규정하는 물리적 지표 중 공기역학적 지표에 관한 공기역학검사(aerodynamic study), 성대의 진동상태를 관측하는 성대진동검사(vocal fold vibration study), 발성된 음성의 음향심리적 지표에 관한 청각심리검사(psychoacoustic study), 발성기능에 관련 있는 후두의 방사선 혹은 특수관찰법 등의 특수 검사, 발성의 정신심리학적 검사와 성대의 진동상태를 조절하는 신경근계의 기능을 검사하는 신경생리검사(neurophysiologic study) 등이 포함된다.

치료

음성 장애의 치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가장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음성치료를 통해 발성법을 교정하고 성대에 무리가 덜 가도록 발성 습관을 고치는 것이다. 또한 약물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하는데, 특히 위-후두 역류는 많은 음성 장애에 병발하는 질환이므로 이를 생활습관 변화와 약물로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또한 수술적 치료가 적응이 되는 경우 전신 마취 하에 성대미세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경과/합병증

음성 장애의 경과는 그 원인 및 질환에 따라 다르다. 목소리 오남용이 기질적 음성 장애의 상당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목소리의 오남용이 지속될 경우 음성 장애는 치료 후에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기질적 원인 중 후두암, 그 중 특별히 성문부암은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다. 음성 장애 자체는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 장애가 될 수 있다.

예방방법

과도한 목소리의 사용을 자제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후두 검진을 통해 교정 가능한 원인 질환이 진단될 경우 치료를 조기에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요법/생활가이드

음성 장애가 있는 경우 원인이 되는 습관을 줄여 건강한 성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연스럽고 편안하게 말하는 습관을 익히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카페인 음료, 음주흡연은 성대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자제하고, 습관성 헛기침을 없애는 것이 좋다.

관련질병

후두염, 후두암, 인후두역류, 편도염, 후두덮개염, 성대 결절, 성대 낭종, 성대 마비, 긴장성 발성 장애, 기능성 발성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