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포항검역소

국립포항검역소

[ 國立浦項檢疫所 ]

요약 포항항과 대구국제공항을 관할 검역구역으로 하는 국립검역소로, 질병관리청 질병대응센터 소속기관이다.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에 있다.
구분 행정기관
설립일 1964년 7월 1일
설립목적 검역감염병의 국내 유입 및 국외 전파 방지를 통한 국민 건강 보호
주요활동/업무 검역, 역학조사, 방역 및 보건위생관리, 감염병 예방 및 홍보·교육 활동, 세균검사 및 감염병 병원체·매개체 감시 등
소재지 본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해안로27(항구동), 대구국제공항지소: 대구광역시 동구 공항로 221(지저동)

1964년 부산해항검역소 포항주재소로 발족하였다. 1969년 국립울산검역소 포항지소로 이관되었고, 1971년 독립하여 국립포항검역소로 승격되었다. 2002년 대구국제공항지소를 설치하였다. 2004년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 국립포항검역소로 조직이 개편되었다. 2020년 질병관리본부가 질병관리청으로 승격됨에 따라 질병관리청 산하 권역별 질병대응센터의 소속기관이 되었다. 

전국 13개 국립겸역소 중 하나로, 경북권질병대응센터에 소속되어 있다. 관할 검역구역은 포항항(경북 포항의 본소 담당), 대구국제공항(대구의 대구국제공항지소 담당)이다. 포항항의 검역구역 중 수역(水域)은 북위 36도06분48초, 동경 129도25분37초의 지점(달만갑)으로부터 북위 35도59분50초, 동경 129도27분31초의 지점(일월 동북방)을 연결한 선 안의 해면이고, 육역(陸域)은 이 수역을 형성하는 해안선으로부터 폭 200m 이내의 육지 지역이다. 대구국제공항의 경우 공항을 형성하는 구역에서 그 주변 200m 이내의 육지 지역이 검역구역에 해당한다.

검역감염병의 국내 유입과 국내외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으로, 포항항과 대구국제공항으로 입·출항하는 선박과 항공기, 승객 및 승무원, 화물에 대한 검역을 실시한다. 참고로 검역감염병이란 메르스·에볼라바이러스병·동물(조류)인플루엔자인체감염증·황열·콜레라·폴리오·페스트·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신종인플루엔자감염증 등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