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재성

편재성

[ 偏在性 ]

요약 어떤 물질이 한 곳에 치우쳐 분포하는 성질.

편재성이란 어떤 물질이 한 곳에 치우쳐 분포하는 성질을 말한다. 자원의 경우, 석탄은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편이지만, 석유는 전 세계 매장량의 절반 이상이 서남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에 매장되어 있어, 특정 지역에만 집중하여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석유는 석탄에 비해 편재성이 강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이 편재성이 클수록 자원의 생산지와 소비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국제적 이동량이 많다. 또한 자원의 편재성으로 인해 자원을 둘러싼 국제적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고 자원 민족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자원 민족주의는 석유 등의 중요 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들이 자원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족적인 이익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1960년 중동의 산유국들이 석유수출국기구(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를 결성한 사례를 들 수 있다.

참조항목

자원민족주의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