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력토 평원

빙력토 평원

[ till plain , 氷礫土平原 ]

요약 빙하가 녹으면서 후퇴하게 될 때 빙하 속에 있던 빙력토가 그 자리에 남아 퇴적되면서 형성된 넓은 평야.

빙력토는 빙하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퇴적물을 말한다. 점토부터 모래, 자갈, 큰 암석에 이르기까지 크기가 매우 다양한데, 하천의 퇴적물과는 달리 이동 과정 중에 크기 별로 분급되지 않고, 모양도 둥글게 변하지 않아 각지거나 예리한 것이 특징이다.

빙력토 평원은 이러한 빙력토가 지면에 퇴적되어 형성된 넓은 평야를 가리킨다. 주로 빙하가 점차 녹으면서 후퇴하게 될 때 빙하 속에 있던 빙력토가 그 자리에 남아 퇴적되면서 형성된다. 이때 빙력토는 주로 빙하의 밑부분에서 운반되던 저퇴석이 많으며 퇴적될 때 골짜기나 저지대를 메꾸기 때문에 빙력토 평원은 평탄하고 단조로운 지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빙하가 녹으면서 형성된 호수나 늪지가 많이 발달하고 하천은 일정한 체계가 없이 발달하여 배수가 극히 불량한 특징이 있다.

빙하의 퇴적 지형 중 가장 규모가 큰 지형으로, 주로 빙식평야의 주변부에 발달되어 있으며, 유럽의 북서부, 러시아 북부 등에 분포한다. 자갈이 많고 척박하기 때문에 농업에는 불리하고 주로 목초지나 방목지로 이용된다.

참조항목

빙하지형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