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적

천적

[ natural enemy ]

천적이란 한 종의 개체군 크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다른 종을 말한다. 보통 특정 종에 대한 포식자나 기생포식자(parasitoids) 또는 병원균 등이 이에 해당된다. 보통 천적 개념은 특정 유해생물을 생물학적 방제(biological control)로 제거하기 위해 쓰이는 생물을 지칭한다. 농약 등에 의해 천적이 사라지면 해충의 대발생이 일어나고, 또 천적이 없는 환경에 침입종이 들어오게 되면 침입종의 대발생이 생기기도 한다.1)

목차

천적의 종류

포식 천적

해충에 제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포식자는 32과 이상으로 매우 많지만, 그 중에서도 꽃노린재과(Anthocoridae), 노린재과(Pentatomidae), 침노린재과(Reduviidae), 딱정벌레과(Carabidae), 무당벌레과(Coccinelliade), 반날개과(Staphlinidae), 풀잠자리과(Chrysopidae), 혹파리과(Cecidomyiidae), 꽃등애과(Syrphidae), 개미과(Formicidae)는 중요한 천적 분류군이다.1) 무당벌레와 그 유충은 진딧물의 대표적인 포식자 천적이다. 고양이는 유해 설치류에 대해 은신처 제거와 함께 사용되면 생물학적 방제효과가 매우 높은 천적이다. 하지만 고양이는 설치류 대발생의 예방에는 효과적이지만, 이미 대발생한 설치류를 제거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2)

포식기생 천적

포식기생자는 곤충 숙주의 몸에 알을 놓아 발생하는 유충이 숙주을 먹어 결국 숙주를 죽이는 포식과 기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생물이다. 이러한 포식기생 천적은 대부분 해충 애벌레 시기에 피해를 줘 농작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포식기생 천적에는 알 포식기생과 애벌레 포식기생이 있다.3)

알 포식기생에는 알벌 및 검정알벌 등이 대표적인데, 알벌류(Trichogramma속)는 나비목 해충에 기생하며 여러 종을 공격하는 특성이 있어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된다. 검정알벌은 노린재, 나방, 딱정벌레, 메뚜기 등의 알에 기생한다.

애벌레 포식기생에는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를 방제하는 기생벌인 온실가루이좀벌(Encarsia formosa)이 대표적이다.4)

포식기생자인 기생벌(Aleiodes indiscretus)이 숲에 피해를 주는 곤충인 집시나방 애벌레를 마비시키는 장면.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DA. Public Domain License.

병원성 천적

병원성 천적에는 세균, 진균 및 바이러스가 포함된다. 유해생물에 감염하여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성 생물도 생물학적 방제자, 즉 천적으로 이용된다. 호주 전역에 급속도로 퍼진 유럽토끼 개체군을 방제하기 위해 살포한 토끼출혈병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5) 소수의 생존 토끼는 이후 이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을 발달시켜 이 천적의 효용성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천적의 이용

도입(importation)

외부에서 새로운 천적을 도입해서 정착시킴으로써 방제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방법이다. 천적을 이용한 획기적인 성공 예인 이세리아깍지벌레(Icerya purchasi)에 대한 배달리아무당벌레(Rodolia cardinalis)의 방제 사례(1888)를 들 수 있다.6) 보통 침입해충을 대상으로 침입해충의 원산지에서 천적이 탐색되어 도입된다. 최근에는 자생해충의 방제를 목적으로 천적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1)

배달리아무당벌레(Rodolia cardinalis) 모습. ©gallhampshire CC BY 2.0 License.

증강(augmentation)

자생천적의 밀도가 낮은 경우 인위적으로 동일한 천적을 방사하여 천적의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단점은 대량 증식된 천적의 제어능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는 점과 생산 원가가 높다는 것이다.1)

보전(conservation)

자생천적을 보호하면서 이용하는 보전을 통해 이들의 제어 효과를 최대한 이용하려는 방법이다. 자생천적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화학합성 살충제이다. 살충제를 줄이거나 천적에 영향이 적은 선택성 살충제를 활용하거나 선택적으로 살포하여 천적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천적의 서식처를 제공하거나 먹이를 주는 방법 등이 천적의 보전에 쓰인다.1)

참고문헌

1. 시야영이 (2008) 천적: 생태와 이용기술. (김창효와 구덕서 역). 천적이용정보교류센터
2. Wodzicki K (1973) Prospects for biological control of rodent population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48: 461–467
3. 변영웅 외 (2012) 하늘이 내린 적, 천적(天敵) – 천적과 생물적 방제의 놀라운 세계. RDA Interrobang 59호
4. 나채인, 정영화. 천적을 이용한 농업해충방제 클러스터의 구축 및 활용방안.
5. Abrantes J et al. (2012). Rabbit haemorrhagic disease (RHD) and rabbit haemorrhagic disease virus (RHDV): a review. Veterinary Research 43: 12. doi: 10.1186/1297-9716-43-12
6. Caltagirone LE (1981) Landmark examples in classical biological control. Annu Rev Entomol 26: 213–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