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 Hoeamsaji Museum of Yangju City , 楊州市立檜巖寺址博物館 ]

요약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왕실 사찰 전문 시립박물관.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분류 박물관
설립일 2012년 10월 19일
소재지 경기도 양주시 회암사길 11(율정동 299-1)
규모 건물 총면적 3,562㎡, 부지면적 9,126㎡
관람시간 오전 9시~오후 5시(3월~10월은 오후 6시까지, 종료 1시간 전 입장 마감)
주요소장품 회암사 및 고려, 조선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물
휴관일 1월 1일, 설 및 추석, 월요일, 시장이 정하는 휴관일

국가 사적 128호로 지정된 회암사지의 발굴조사, 박물관 건립, 유적 및 단지 정비 등의 사업을 포함한 회암사지 종합정비계획의 일환으로 2012년 10월 19일 개관했다. 고려 말, 조선 초 최대 왕실 사찰이었던 회암사의 역사와 위상을 재조명하고, 유물 수집·보관·연구·전시·교육 기능을 통해 박물관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하며 발전적인 역사 문화 중심기관으로 기능하고자 한다. 아울러 국내외 기관과의 문화교류 창구로 활용하여 문화예술 도시로서 양주시의 이미지를 창출하는데 기여하는 시의 대표 박물관으로 운영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다.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2층으로, 건물 총면적 3,562㎡, 부지면적 9,126㎡의 규모이며, 회암사 및 고려,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물 11,000점 이상을 소장하고 있다.

주요시설

주요 전시시설로는 1층의 상설전시실 1과 2층의 상설전시실 2, 기획전시실이 있다. 상설전시실 1은 회암사와 관련한 출토유물과 기록, 모형 및 영상을 통해 회암사의 역사와 왕실과의 관계, 대가람의 위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회암사 대가람 공간에서는 회암사의 규모와 가치를 보여주는 회암사 대가람 복원모형을 전시하고 영상을 상영하여 각 건물의 역할 및 생활상을 쉽게 살펴볼 수 있다. 상설전시실 2는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을 중심으로 회암사의 불교 문화와 생활, 건축문화를 살펴보면서 억불정책으로 사라진 회암사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도록 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회암사지와 관련된 왕실, 불교문화 또는 지역문화 전시가 연 1~2회 개최된다.

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으로는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토수〉, 〈용두〉, 〈청동 풍탁〉, 〈무장형 잡상〉, 〈효령대군 선덕갑인오월명 범자문 수막새 孝寧大君宣德甲寅五月銘梵字文瓦〉, 〈천순경진명 봉황문 수막새 天順庚辰銘鳳凰文瓦〉, 〈금동불입상〉 등이 있다.

부대시설

1층 영상실에서는 영상 상영과 함께 각종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며, 방문자센터에서는 주변 유적에 대한 정보와 역사퀴즈가 준비되어 있다. 2층 문화체험실에서는 출토 유물 맞추기, 퍼즐 맞추기, 회암사 복원하기 등의 체험학습 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박물관 인근에는 회암사지가 있어 관람객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회암사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다.

참조항목

회암사

카테고리

  • > >
  • > > >

관련동영상

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조선최대의 왕실사찰 전문 박물관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왕실사찰 전문 시립박물관으로 2012년 10월 개관하였다. 회암사지의 발굴조사, 박물관 건립, 유적과 단지 정비 등 회암사지 종합정비계획의 추진을 위해 건립되었다. 건물은 지하1층 지상2층으로 지어져 사찰 회암사와 고려, 조선 왕실의 역사와 문화에 관련된 유물 약 11,000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회암사의 규모를 알 수 있는 대가람 복원모형이 전시되고 있다. 주요 소장품으로는 회암사지에서 출토된 토수, 용두, 청동 풍탁, 무장형 잡상, 효령대군 선덕갑인오월명 범자문 수막새 , 천순경진명 봉황문 수막새, 금동불입상 등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