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

[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

약어 PEDV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 PEDV)는 돼지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 : PED)를 일으키는 원인체이다. 돼지의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되는 전염병으로 구토와 수양성 설사가 특징이다.

목차

분류

그룹 Group IV ((+)ssRNA)
Nidovirales
Coronaviridae
아과 Coronavirinae
Alphacoronavirus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기원 및 발병

1978년 돼지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 PED)를 일으키는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가 유럽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뒤이어 중국, 일본, 한국 및 태국을 포함한 아시아의 많은 국가에서 돼지유행성설사가 발생하였다. 1992년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가 분리 보고된 이후 해마다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우리나라는 제2종 법정 가축전염병으로 관리하고 있다1)2).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는 돼지의 소장을 덮고 있는 세포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이다. 바이러스의 증식은 소장과 결장의 상피세포 및 장간막 림프절에서 이루어지며 심한 설사와 탈수증을 유발한다.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매우 높아 새끼 돼지들에게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고 100%에 이르는 매우 높은 사망률을 초래한다3)는 점에서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의 발생은 돼지산업에 큰 경제적 손실을 입힌다. 질병은 돼지에게 치명적이지만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으며, 식품을 오염시킬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3)

구조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는 Coronaviridae로 약 28 kb의 양성단선사슬(positive-single stranded) RNA 유전체를 가지며1), 글리코실화된 spike [S], 150 kDa; membrane [M], 25~30 kDa; envelope [E], 9~12 kDa; nucleocapsid [N], 50~60 kDa의 4개의 구조 단백질과 3개의 비구조적 단백질(replicase 1a, replicase 1b, ORF3)로 구성되어 있다4).

그 중 S단백질은 감염 초기에 숙주의 세포 표면과 결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유전적인 변이의 빈도가 매우 높아 다루기 힘들다1)5).

반면 N단백질은 나선형으로 바이러스 입자의 RNA와 결합되어 있고, 유전적으로 잘 보존되어 있기 때문에 돼지설사유행바이러스 감염 초기에 정확한 진단을 위해 널리 사용되며1)6) N단백질이 보유하고 있는 항원결정기는 세포매개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그림 1.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PEDV)의 구조 ()

바이러스의 전달7)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 전달의 주요 수단은 분변-구강경로이다. 분변 및 구토물 또는 오염된 물체(운송 트레일러, 사료공급기 등)가 바이러스의 주요 전달원이 될 수 있다. 감염된 돼지에서 바이러스가 배출되기 까지는 7~9일이 걸리며 그 기간 동안 바이러스의 운반체는 오랫동안 알려진 바가 없다.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는 4°C에서 최대 60°C의 환경에서 안정적이며 그 이후로 감염성을 잃기 시작한다. 따라서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는 온도, pH, 습도에 따른 다양한 농장의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다.   

백신

현재 존재하는 백신은 새끼돼지가 아닌 임신한 암퇘지에게 사용하여 초유를 먹을 때 갓 태어난 돼지에게 모성면역을 포함해 전달되어 몇 주 동안 새끼돼지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8). 백신은 이전에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에 노출되었던 암퇘지에게 가장 효과적이다. 

관련용어

바이러스, 유전체, 숙주

집필

조유희/차의과학대학교

감수

김재욱/국제백신연구소

참고문헌

1. Kim, K., Park, Y., Park, B., Truong, Q.L., Park, S., Kim, J., Hahn, T.W. 2016. Genetic diversity of nucleocapsid genes of recent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es isolated in Korea. Korean J. Vet. Res. 56, 23–28.
2.
3.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in Oregon Publish Date: Winter 2016 Vol. XI No. 1
4. Kim, S.H., Lee, J.M., Jung, J., Kim, I.J., Hyun, B.H., Kim, H.I., Park, C.K., Oem, J.K., Kim, Y.H., Lee, M.H., and Lee, K.K. 2015.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in Korea 1998 to 2013. Arch. Virol. 160, 1055-1064.
5. Li, Z., Chen, F., Yuan, Y., Zeng, X., Wei, Z., Zhu, L., Sun, B., Xie, Q., Cao, Y., Xue, C., Ma, J., and Bee, Y. 2013. Sequence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nucleocapsid genes of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strains in China. Arch. Virol. 158, 1267-1273.
6. PROHEALTH "Porcine Epidemic Diarrhoea virus: A threat to European pig farms?"
7. Jung, K., Wang, Q., Scheuer, K.A., Lu, Z., Zhang, Y., and Saif, L.J. 2014. Pathology of US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strain PC21A in gnotobiotic pigs. Emerg. Infect. Dis. 20, 662–665.
8. Sun, R., Leng, Z., Zhai, S.L., Chen, D., and Song, C. 2014. Genetic variability and phylogeny of current Chinese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strains based on spike, ORF3, and membrane genes. ScientificWorldJournal 2014, 208439.

동의어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유행설사바이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