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디다투스

캔디다투스

[ Candidatus ]

약어 Ca.

국제원핵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의 규칙(Rules)에 포함되지 않는 잠정적 분류군이다. 배양이 불가능하거나 순수 분리되지 않은 배양, 지속되지 않는 배양, 유전체 분석 상태 등의 조건에서 원핵생물을 잠정적인 분류군으로 제시하기 위해 사용한다.

.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 logo ()

목차

소개

생물의 학명은 국가와 언어를 초월하여 각 분류군의 정확한 학술 용어로서 기능하며 생물의 연구, 이용, 관리 등에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핵생물의 명명은 국제미생물학회연합(International Un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 IUMS) 산하의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 ICSP)에서 발행, 편집되는 국제원핵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에 의거한다1). 규약은 원칙(Principles), 규칙(Rules), 권고(Recommendations)로 이루어진다.

국제원핵생물명명규약 규칙에 따르면, 원핵생물의 명명은 원핵생물이 살아있는 순수 분리 상태로 배양, 유지가 가능하고 표준 균주가 최소 2개 이상 국가의 균주 은행(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되었을 때 유효하다2). 하지만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실험실 환경에서 순수 분리 배양이 가능한 것은 극히 일부이다. 원핵생물은 배양하지 않고 유전체 분석으로 특성을 분석하고 분류학적 위치를 규정할 수 있다. 또 순수 분리 상태가 아니어도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징을 시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명명규약에 규칙으로 규정할 수 없는 원핵생물들을 연구하기 위한 규정된 학술 용어가 필요하다.

Candidatus는 1994년 머레이와 슈레이퍼가 처음 제안했으며 명명규약으로 분명히 규정되지 않은 잠정적인 분류군이다3). 이에 따르면 Candidatus는 원핵생물을 특징짓는 데에 DNA 염기서열과 그 이상의 정보가 있지만, 명명규약 규칙을 충족하기에 부족한 경우에 사용한다. 이어 1995년 Candidatus의 확립을 제안하는 주석을 발표하였고4), 1996년에 국제원핵생물명명규약의 부록으로 채택되었다5).

사용

Candidatus는 배양할 수 없지만 유전체 분석 정보가 있는 경우, 배양은 되지만 순수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 장기간 보존이 불가능하여 균주 은행 기탁을 할 수 없는 경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명명규약의 부록에 따르면 Candidatus를 기술할 때 아래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여야 한다2).

1. 계통학적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게놈 정보

2.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

A. 구조, 형태와 같은 표현형적 특성

B. 대사과정, 생리학적 특성

C. 생식 기능

D. 서식 환경

E. 이 외의 정보

Candidatus 상태의 원핵생물이 추후 배양, 순수 분리가 되어 명명규약 규칙을 충족하게 되면 Candidatus 목록에서 제하고 규칙에 따라 정식 분류군으로 명명한다.

Candidatus 상태에 있는 원핵생물의 이름을 표기할 때는 Candidatus를 명시한다. 따옴표 안에 Candidatus를 이탤릭체로, 이어서 학명을 로마자로 표기한다. 학명은 속명과 종명 또는 속명 또는 종명으로 기술한다. Candidatus는 Ca.로 줄여 사용할 수 있다.

예) ‘Candidatus Nitrosopumilus’, ‘Candidatus Arcobacter sulfidicus’, ‘Ca. Nebulobacter yamunensis’

관련용어

원핵생물, 균주 은행(culture collection)

집필

김병용/㈜천랩

감수

윤상선/연세대학교

참고문헌

1.
2. Parker, C.T., Tindall, B.J., and Garrity, G.M. 2015.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doi: 10.1099/ijsem.0.000778.
3. Murray, R.G.E. and Schleifer, K.H. 1994. Taxonomic notes: A proposal for recording the properties of putative taxa of proc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44, 174-176.
4. Murray, R.G.E. and Stackebrandt, E. 1995. Taxonomic note: Implementation of the provisional status candidatus for incompletely described proc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45, 186-187.
5. Labeda, D.P. 1997. Judicial commission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 bacteriology VIIth international congress of microbiology and applied bacteriology. Int. J. Syst. Evol. Microbiol. 47, 240-240.

동의어

candidatus, Ca., Candidatus, 캔디다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