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회 아시아경기대회

제18회 아시아경기대회

[ The 18th Asian Games , 第十八回-競技大會 ]

요약 2018년 8월 18일부터 9월 2일까지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팔렘방에서 열린 아시아경기대회. 아시아 45개국에서 1만 1300여 명의 선수 및 임원이 참가하여 40종목 465개 세부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

대회기간 2018년 8월 18일~2018년 9월 2일
개최도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팔렘방
대회규모 45개국 1만 1300여 명
한국참가인원 39개 종목 1044명(선수 807명, 임원 237명)
메달순위 1위 중국, 2위 일본, 3위 대한민국
한국획득메달 금 49개, 은 58개, 동 70개
개최종목 육상·수상경기·골프·공수도·근대5종·농구·럭비·레슬링·롤러스포츠·롤링·무술·배구·배드민턴·복싱·볼링·브리지·사격·사이클·세팍타크로·스쿼시·스포츠클라이밍·승마·야구·양궁·역도·요트·유도·제트스키·체조·축구·카누·카바디·탁구·태권도·테니스·트라이애슬론·패러글라이딩·펜싱·하키·핸드볼
참가종목 육상·수상경기·골프·공수도·근대5종·농구·럭비·레슬링·롤러스포츠·롤링·무술·배구·배드민턴·복싱·볼링·사격·사이클·세팍타크로·스쿼시·스포츠클라이밍·승마·야구·양궁·역도·요트·유도·제트스키·체조·축구·카누·카바디·탁구·태권도·테니스·트라이애슬론·패러글라이딩·펜싱·하키·핸드볼
시범종목 e스포츠, 카누 폴로

개최국 선정

2012년 11월 에서 열린 (OCA)에서 동계올림픽 및 월드컵 축구대회의 개최 연도와 겹치지 않도록 하계올림픽이 열리기 1년 전에 개최하기로 합의하고 2019년 제18회 대회의 개최지로 베트남 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2014년 4월 베트남 정부가 경제적 문제를 사유로 개최권을 반납함에 따라 같은 해 9월 한국의 인천광역시에서 열린 OCA 총회에서 인도네시아의 수도 자카르타와 수마테라셀라탄주의 주도 팔렘방을 개최지로 확정하였다. 또한 2019년에 인도네시아에서 대통령 선거를 실시하는 점을 감안하여 개최 시기도 1년 앞당겨 2018년에 치르도록 조정하였다. 이로써 인도네시아는 1962년 제4회 대회에 이어 두 번째로 아시아경기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슬로건·엠블럼·마스코트

대회 슬로건은 '아시아의 에너지(The Energy of Asia)'이다. 엠블럼은 주 경기장인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Stadion Gelora Bung Karno)을 위에서 내려다 본 모습에서 모티브를 따서 경기장으로 향하는 8개의 주요 도로와 빛나는 태양을 형상화하였으며, 아시아 국가들 간의 화합을 상징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마스코트는 전략(Strategy)을 상징하는 빈빈(Bhin Bhin)과 속도(speed)를 상징하는 아퉁(Atung) 그리고 강인함(Strength)을 상징하는 카카(Kaka) 등 세 가지 동물 캐릭터이다. 빈빈은 인도네시아 최동단인 파푸아섬에 서식하는 첸드라와시(Cendrawasih;)를 캐릭터화한 것으로, 파푸아 지역에 거주하는 아스맛(Asmat) 부족이 착용하는 전통 직물로 짠 조끼를 입고 있다. 아퉁은 바웨안섬에 서식하는 을 캐리턱화한 것으로, 자카르타 전통의 툼팔바틱 을 허리에 두르고 있다. 카카는 팔렘방에 서식하는 원뿔소를 캐릭터화한 것으로, 전통 바틱 문양의 머플러를 목에 두르고 있다.

참가국

주최국인 인도네시아를 비롯하여 네팔·동티모르·라오스·레바논·마카오·말레이시아·몰디브·몽골·미얀마·바레인·방글라데시·베트남·부탄·북한·브루나이·사우디아라비아·스리랑카·시리아·싱가포르·아랍에미리트·아프가니스탄·예멘·오만·요르단·우즈베키스탄·이라크·이란·인도·일본·중국·중화타이페이·카자흐스탄·카타르·캄보디아·쿠웨이트·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태국·투르크메니스탄·파키스탄·팔레스타인·필리핀·한국·홍콩 등 45개국이며, 총 1만 1300여 명의 선수 및 임원이 참가하였다. 한국은 선수단 1044명(선수 807명, 임원 237명)이 참가하였다.

경기 종목

개최 종목은 육상과 수상경기를 비롯하여 골프·공수도·근대5종·농구·럭비·레슬링·롤러스포츠·롤링·무술·배구·배드민턴·복싱·볼링·브리지·사격·사이클·세팍타크로·스쿼시·스포츠클라이밍·승마·야구·양궁·역도·요트·유도·제트스키·체조·축구·카누·카바디·탁구·태권도·테니스·트라이애슬론·패러글라이딩·펜싱·하키·핸드볼 등 40개이며, 세부 종목은 총 465개이다. 무술 종목 가운데 주짓수(유술)·쿠라시(Kurash)·삼보(Sambo)·펜착실랏(Pencak silat)을 비롯하여 스포츠클라이밍·제트스키·패러글라이딩·롤러스포츠·브리지 등은 이번 대회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이밖에 e스포츠와 카누 폴로 경기가 시범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한국은 브리지를 제외한 39개 종목에 출전하였다.

경기장

경기장은 자카르타와 팔렘방을 중심으로 하여 자바바라트주와 반텐주 등의 네 지역에 분산되었다. 자카르타에는 개·폐회식과 육상 경기 등이 열린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을 중심으로 하는 스포츠 단지가 조성되었으며, 수영 및 테니스·농구·야구·양궁·하키·럭비 경기 등이 치러졌다. 이밖에 자카르타 서부에 신축된 자카르타 국제 벨로드롬(Jakarta International Velodrome)에서 사이클 경기가, 자카르타 국제엑스포(JIExpo)에서 복싱·브리지·체조·탁구·우슈·역도·레슬링 등의 경기가 치러졌다.

팔렘방에는 여자축구 경기가 치러진 겔로라 스리위자야 스타디움(Gelora Sriwijaya Stadium)을 주 경기장으로 하는 자카바링 스포츠 종합단지(Jakabaring Sport Complex)가 조성되었다. 스포츠 단지에서 테니스·세팍타크로·볼링·사격·스포츠클라이밍·비치발리볼·롤러스포츠 경기가 치러졌고, 자카바링(Jakabaring) 호수에서는 카누·조정·트라이애슬론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밖에 자바바라트주의 잘락 하루팟 스타디움(Jalak Harupat Stadium)·파칸사리 스타디움(Pakansari Stadium)·패트리어트 스타디움(Patriot Stadium)·위바와 묵티 스타디움(Wibawa Mukti Stadium) 등에서 남자축구 경기가 진행되었다.

대회 결과

1위는 중국으로 금메달 132개, 은메달 92개, 동메달 65개를 획득하였으며, 2위는 일본으로 금메달 75개, 은메달 56개, 동메달 74개를 획득하였다. 3위는 대한민국으로 금메달 49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70개를 획득하였고, 개최국인 인도네시아(4위)와 우즈베키스탄(5위)이 그 뒤를 이었다. 북한은 금메달 12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13개를 차지하며 종합 10위에 올랐다. 대회 MVP에는 6관왕을 차지한 일본의 수영 선수 이케에 리카코가 선정되었는데, 여성 선수로는 처음 대회 MVP가 되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