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별

우리별

[ 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Satellite ]

약어 KITSAT

우리별은 1990년대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공위성연구소(SaTRec)에서 제작하여 발사한 위성들이다. 1992년 발사된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1호를 시작으로 1999년 발사된 우리별3호에 이르기까지 3기의 위성을 통틀어 우리별 시리즈라 부른다. 특히, 우리별1호는 인공위성 개발의 불모지였던 대한민국이 세계 22번째 위성 보유국이 되도록 한 의미있는 인공위성이다.

목차

우리별1호(KITSAT-1)

우리별1호(KITSAT-1)는 1992년 8월 11일 남미 쿠루기지에서 발사된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이다. 영국 써리 대학(University of Surrey)과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의 공동 개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작된 국내 최초의 인공위성이며, 대한민국의 우주 기술 개발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효시가 되었다.

영국 써리 대학과 맺은 "인공위성 공동 개발에 관한 양해각서"를 바탕으로 한국과학기술원 졸업생 9명이 영국에 파견되어, 위성공학 과정을 이수하는 동시에, 1991년 1월 우리별1호 개발 착수하였다. 실험실의 버려진 메모지까지 뒤져가며 위성기술을 배우려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우리별1호의 성과는 크게 인공위성개발 기술습득, 위성기술 전문인력 양성, 그리고 인공위성을 이용한 우주환경 연구의 시작 등으로 볼 수 있다.

우리별1호의 인공위성 시스템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구분(Item) 사양(Specifications)
궤도(Orbit) 원형 궤도(circular orbit), 고도 1300 km
주요 제원(Key parameters) 35 × 35 × 67 cm, 49 kg, 30 W
자세 제어(Attitude Control) 중력경사 및 자기토커(gravity gradient and magnetic torquer)
지향 정밀도(pointing accuracy) < 5°
주요 탑재기기(Major instruments) 디지털 축적 및 전송 통신 실험(DSFCE : Digital Store and Forward Communication Experiment)
CCD 지구 영상 촬영 시스템(CEIS : CCD Earth Imaging System)
우주 방사선 실험(CRE : Cosmic Ray Experiment)

그림 1. 우리별1호의 모습.(출처: )

우리별2호(KITSAT-2)

1993년 9월 26일 남미 쿠루 기지에서 발사된 인공위성으로, 우리별1호를 만든 기술진이 한국에 돌아와 국내에서 제작한 첫 번째 위성으로 많은 국산 부품과 국내 개발 실험 장치들이 탑재되었다. 독자적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운용하여 기술자립의 성과를 거두었다.

우리별2호의 주요 성과로는 우리별2호 시스템의 독립적 개선, 독자개발 실험장치 개발 및 실험, 그리고 국내 우주 산업의 활성화를 들 수 있다.

우리별2호의 인공위성 시스템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그림 2 참조).

구분(Item) 사양(Specifications)
궤도(Orbit) 원형 태양동기 궤도(circular sun-synchronous orbit), 고도 800 km
주요 제원(Key parameters) 35 × 35 × 67 cm, 48 kg, 30 W
자세 제어(Attitude Control) 중력경사 및 자기토커(gravity gradient and magnetic torquer)
지향 정밀도(pointing accuracy) < 5°
주요 탑재기기(Major instruments) KAIST 위성 컴퓨터(KASCOM : KAIST Satellite Computer)
CCD 지구 영상 촬영 시스템(CEIS: CCD Earth Imaging System)
저에너지 전자 검출기(LEED: Low Energy Electron Detector)

그림 2. 우리별2호의 모습.(출처: )

우리별3호(KITSAT-3)

1999년 5월 26일 인도의 PSLV(Polar Satellite Launch Vehicle) 발사체에 의해 발사된 우리별 시리즈의 세 번째 인공위성이다. 인공위성연구소 자체 기술로 설계 제작된 독자적인 버스 시스템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원격탐사용 기술 시험을 위한 고해상도 다채널 지구 영상 촬영 시스템의 경우, 대형위성에 버금가는 성능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그림 3 참조).

우리별3호의 주요 성과로는 고유의 3축 자세제어 방식 소형 위성 시스템 개발, 저가 원격 탐사 위성 시스템 디자인, 태양 활동에 따른 우주 환경 변화 관측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별3호의 인공위성 시스템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그림 4 참조).

구분(Item) 사양(Specifications)
궤도(Orbit) 원형 태양동기 궤도(circular Sun-Synchronous Orbit), 고도 730 km
주요 제원(Key parameters) 50 × 60 × 85 cm, 110 kg, 150 W
자세 제어(Attitude Control) 3축 안정화 방식(3-axis stabilized)
지향 정밀도(pointing accuracy) < 0.5°
주요 탑재기기(Major instruments) X-band 고속 전송 안테나(PDTX: Payloads Data Transmitter)
다채널 지구 영상 촬영 시스템(MEIS: Multi-spectral Earth Imaging System)
우주 환경 측정 실험(SENSE: Space ENvironment Scientific Experiment)

그림 3. 우리별3호로 촬영한 평양 영상.(출처: )

그림 4. 우리별3호의 모습.(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