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이끼류

솔이끼류

[ mosses ]

솔이끼류는 유관속 조직이 없는 비관속 육상식물이다. 솔이끼류의 가장 큰 특징은 물이 통하는 선류물관이라는 통수세포와 당이 이동하는 선류체관이 존재한다. 넓은 분포역을 가지며, 다른 식물들이 생육할 수 없는 남극 및 고산에서도 생존하며, 전세계의 대부분 습한 땅위 또는 바위나 나무의 수피에 붙어서 자란다.

목차

정의

비관속 육상식물의 주요 세 그룹인, 솔이끼류, 우산이기류, 뿔이끼류 중 솔이끼류는 가장 다양하고 종수가 많다. 잎에는 주맥이 있으며, 삭은 보통 삭개가 떨어지며, 기공이나 축주가 있고 탄사는 없으며, 삭과 삭병이 오래 유지된다는 점에서 태류와 구별 된다.1)

전 세계적으로 700속에 약 10,000 분류군이 분포하고, 중국에는 약 2,500 분류군, 일본에는 약 1,200 분류군이 분포하고 있으며,2) 한반도에는 약 450~645 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솔이끼류의 가장 큰 특징은 물이 통하는 선류물관이라는 통수세포와 당이 통하는 선류체관이 존재한다. 이들은 관속식물의 물관부와 체관부와 유사하나 특화된 양상을 보이지는 않는다. 이들 구조는 유관속 조직으로 진화되는 중간단계 이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진화된 조직으로 여겨진다.3)

두번째 특징은 솔이끼류의 포자에는 주위층이라는 두꺼운 외층이 있는데 이는 솔이끼류 식물의 파생형질이거나 솔이끼류와 관속식물이 공유하는 형질로 보여진다. 솔이끼류의 잎은 대개 매우 작고 얇으나 통도세포로 된 엽륵이 마치 관속식물의 엽맥처럼 뻗어있다. 3)

솔이끼류 식물의 잎은 대개 매우 작고 얇으나 통도세포로 된 엽륵이 마치 관속식물의 엽맥처럼 뻗어있다. A. 솔이끼과 산들솔이끼 B. 선류식물의 잎 (출처:윤나래)

생활사

장정기와 장란기는 대개 배우체 줄기 끝에서 만들어진다. 수정 후 포자체는 위로 자라는데 이때 종종 장란기의 정단부위가 포자체의 끝에 덮인체 계속 자라게 된다. 이 정단부의 장란기 조직을 삭모라 하는데 이는 어린 포자체의 정단부위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포자체는 대개 긴 삭 삭병과 그 끝에 달리는 포자낭 또는 삭으로 구성된다. 솔이끼류의 대부분 식물에서 삭은 특수한 방식으로 열리며, 포자 방출 시기에 선개라고 불리는 덮개가 삭의 정단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윤생하는 삭치가 들어난다. 삭치는 태류의 탄사처럼 건습성이다. 솔이끼류의 포자는 적당한 환경 조건에 발아하여 새로운 배우체로 자라난다.3)

분류군

솔이끼류 식물 중 한반도에 분포하는 분류군은 물이끼강(Sphagnopsida) 20종, 검정이끼강(Andreaeopsida) 2종, 솔이끼강(Polytrichopsida) 24종, 네삭치이끼강(Tetraphidopsida) 1종, 참이끼강(Bryopsida) 560여종이 분포하며, Takakiopsida강, Andreaeopbryopsida강, Oedipodiopsida강은 국내에 분포하지 않는다.4)

현존하는 선류식물의 계통수 및 주요 강 (출처:윤나래)Goffinet, Bernard, William R (2004) Systematics of the Bryophyta (Mosses): From molecules to a revised classification. 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Molecular Systematics of Bryophyte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USA, 98: 205–239

생육지와 생태

솔이끼류 식물은 넓은 분포역을 가지며, 다른 식물들이 생육할 수 없는 남극 및 고산 등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며, 전세계의 대부분 습한 땅 위 또는 바위나 나무의 겉에 붙어서 생육한다. 소량의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에도 민감하게 반응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식물로 높이 평가되고 있는 분류군이다.2)

참고문헌

1. Choe DM (1980)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Musci-Hepaticae. Min. Edu., 790
2. Hallingbäck T, Hodgetts N (2000) Mosses Liverworts and Hornwort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for Bryophytes. IUCN., 106
3. 김영동, 신현철 역 (2011) 식물계통학(2판). 월드사이언스, 65-69
4. 국립생물자원관 (2017) 한국의 국가생물종목록.

동의어

선류